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군, 실사격 훈련 잇달아 연기…'정세 관리' 차원 관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합참 "북한군, DMZ 북방한계선 일대 방벽 설치·지뢰 매설 등 활동"

연합뉴스

사격하는 K9자주포
(철원=연합뉴스) 17일 오전 강원도 철원군 문혜리사격장에서 수도포병여단, 17사단, 해병2사단이 합동 포탄사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은 K9자주포가 사격하는 모습. 2024.4.17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군이 실사격 훈련을 예정했다가 잇따라 연기해 남북 긴장 정세를 관리하는 차원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17일 군에 따르면 해병대는 당초 이번 주 중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북도서 일대에서 K9 자주포를 이용한 실사격 훈련을 계획했으나 이를 미뤘다.

이달 4일 정부가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을 정지함에 따라 서북도서 내에서 6년 만에 재개되는 것으로 주목받았던 훈련이다.

다만 훈련 시점이 언론을 통해 사전에 알려진 것이 훈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하에 해병대 측에서 시일을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에 대응해 우리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뒤 북한이 추가 도발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일종의 '수위 조절'을 위해 군이 쓸 수 있는 카드를 아껴두고자 사격을 연기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일각에서 나온다.

육군도 지난 13일 충남 보령에서 K-239 '천무' 다연장로켓(MLRS) 고폭탄 실사격 훈련을 실시할 계획이었으나 연기했다.

육군은 애초 전방에 위치한 천무 포대를 보령으로 이동시켜 훈련을 치를 예정이었지만, 대남 오물풍선, 군사분계선(MDL) 침범 등 최근 북한군 동향이 심상치 않다는 판단하에 전방 전력 유지를 위해 훈련을 미루기로 했다.

육군 관계자는 "사격훈련도 중요하지만 대비태세 유지도 중요하다"며 "가급적 이달 안에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우석 육군 공보과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대비 태세 유지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해서 훈련 일정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MDL과 비무장지대(DMZ) 북방한계선(군사분계선 북쪽 2㎞ 선상) 일대에서 다양한 작업을 진행 중인 정황이 우리 군에 포착됐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군이 "대전차 장애물 비슷한 방벽 (설치), 전술 도로 보강, 지뢰 매설, 불모지 작업" 등의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readines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