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위기와 기회의 공존 '캄보디아'] 출자제한, 신용공여 등이 해외진출 '발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캄보디아는 외국계 금융사에 대한 진입장벽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하지만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국내 금융당국의 규제·감독 기준을 충족시켜야만 진출이 가능하다.

금융감독원의 '금융정보 Country Brief' 및 한국금융연구원의 '신남방정책과 국내은행의 아세안 진출' 보고서 등에 따르면 국내 금융사들의 해외진출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국내 금융당국의 규제·감독이다.

은행의 경우 '은행법 시행령 제3조3항' 및 '은행업감독규정 제10조'에 따라 해외에 지점이나 현지법인 설립 시 투자액이 자기자본의 1%를 초과하면 신설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금융위와 협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금융위는 신설계획을 보완하거나 변경,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금융위와 사전협의를 해야하는 금융사라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영업계획, 자금조달계획 등의 심사도 받아야 한다.

캄보디아 진출 시에도 투자규모에 따라 금감원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지난해 8월 S&P가 발표한 캄보디아의 신용등급은 'B'로 동남아 국가 중에서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은행의 경우 국가 신용등급이 S&P 기준 'B+' 이하이거나 신용등급이 없는 국가에는 금감원의 심사를 거쳐야만 자기자본의 1% 이상을 투자를 할 수 있다. 즉 국내 금융사들이 투자를 꺼릴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만일 투자액이 자기자본의 1% 이하로 금융위와 협의 의무가 없다하더라도 현지 감독당국이 해당 금융사의 건전성과 준법성, 투자계획 현실성 등에 대한 국내 감독당국의 확인서를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국내 감독당국과 사전 조율이 이뤄져야 가능하다.

국내 금융사가 M&A(인수·합병)나 출자를 통해 해외에 진출할 때도 출자제한 규제가 덧붙는다. 은행의 경우 출자를 통해 해외 금융사를 인수·합병한다면 자기자본의 20% 이상 출자할 수 없다. 단 금융위가 정하는 출자요건을 충족하면 40%까지 확대할 수 있다.

캄보디아 소매금융업에 진출한다고 가정해보자. 소매금융업은 다수로부터 예금을 받고 이를 다시 다수에게 대출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대규모 점포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소매금융업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M&A가 정석이지만, 출자제한 규제가 적용되면 대규모 M&A가 어렵다.

실제 해외진출에 가장 적극적인 우리·KEB하나·신한은행만 해도 자회사 출자총액이 자기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3월 말 기준 모두 10%를 초과한다. 3개 은행 중 비중이 가장 낮은 신한은행의 경우 투자여력이 자기자본(21조7671억원)의 9.7%인 2조1000억원에 불과해 해외에서 중형급 이상의 매물을 M&A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현지법인에 신용공여 형태로 운용자금을 공급할 때에는 자회사 신용공여 관련 규제가 적용된다. 은행의 경우 한 자회사에 자기자본의 10%까지만 신용공여가 가능하고, 모든 자회사에 제공하는 신용공여 금액의 합계가 자기자본의 20%를 넘지 못한다.

통상 해외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는 대부분 브랜드 가치 및 인지도가 낮아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모은행에서 대출에 필요한 자금의 상당부분을 신용공여 형태로 지원하는데, 규제로 자금조달이 쉽지 않다.
김민수 기자 kms@ajunews.com

김민수 kms@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