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위와 5분위 가구당 월평균 소득 증감률 추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4·4분기 저소득 가구(1분위)의 월평균 소득이 4분기 연속 감소했다. 반면 고소득 가구(5분위)는 12분기째 증가했다. 상하위 소득 격차는 지난 2003년 통계 작성이래 15년 만에 최악으로 벌어졌다. 기초연금 등 공적연금 투입에도 소득 격차가 더 악화된 셈이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실효성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60만6000원으로 1년 전 보다 3.6%(실질기준 1.8%) 증가했다.
전년 같은 분기와 대비한 가구 월평균 소득 증가율은 지난 2012년 4·4분기 5.4%를 기록한 뒤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가계 월평균 소득을 늘었지만 전체 가구를 5개 등급으로 나눠보면 소득 수준에 따른 격차는 더 벌어졌다. 저소득층의 소득은 줄고, 고소득층의 소득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소득 최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2인 이상 가구)은 123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17.7% 감소했다. 감소폭은 전분기(-7.0%)보다 더 악화됐다.
특히 경상소득은 1년 전보다 14.6% 감소한 123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근로소득은 전분기(-22.6%) 보다 더 악화되며 36.8% 줄었다. 사업 소득은 전분기(-13.4%) 보다 감소폭은 완화됐지만 감소세(-8.6%)는 여전했다.
차하위계층인 소득 20~40%(2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77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4.8% 감소했다. 역시 전분기(-0.5%) 보다 더 나빠졌다.
반면 소득 최상위 20%(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32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10.4% 증가했다. 2003년 통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3분기(8.8%)에 이어 2분기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이다. 3분기에는 사상 처음으로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57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4.8% 늘었다. 전분기(5.8%) 보다 증가율은 소폭 둔화됐지만 소득은 더 늘었다.
중간계층인 소득 상위 40~60%(3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10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8% 증가했다. 전분기(2.1%) 보다 증가율은 다소 둔화됐다.
상하위 가구 소득 격차가 벌어지면서 4·4분기 소득분배 상황은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15년 만에 가장 많이 악화됐다.
4·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47배로 1년 전(4.61배)보다 0.86 상승했다. 5분위 배율 수치가 클수록 계층 간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판단한다. 처분가능소득은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지출할 수 있는 부문을 말한다.
정부는 고령화 등 구조적 요인과 취약계층 고용부진, 기저효과 등이 겹치면서 저소득층 소득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정부는 최근 분배여건의 어려움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소득분배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 일자리 창출이 뒷받침 돼야 하는 만큼 규제개혁, 상생형 일자리 확산, 산업혁신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