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분)'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23만8000원으로, 2017년 4분기와 비교해 17.7% 감소했다. 소득부문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감소율이 가장 크다.
|
같은 기간 상위 20% 계층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32만4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14.2% 증가한 688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사업소득은 179만5000원으로 전년대비 1.2% 증가했다.
가구원 1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기준으로 계산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도 1분위와 5분위의 격차가 벌어졌다. 1분위 처분가능소득은 전년동기대비 8.1% 감소한 반면 5분위 소득은 9.1% 증가했다.
근로소득도 1분위는 19.2% 감소했으나 5분위는 16.9% 증가했다. 사업소득 역시 1분위는 20.2% 줄었지만 5분위는 전년대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득격차는 벌어졌지만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과 비소비지출은 2017년과 비교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5분위 소득과 지출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작년 4분기 전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60만6000원으로 전년동분기 대비 3.6% 증가했다. 실질기준으로는 1.8%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소득은 월평균 311만5000원으로 전년대비 6.2% 늘었으며, 재산소득과 이전소득도 각각 4.9%, 11.9% 늘었다. 다만 사업소득은 91만1000원으로 전년대비 3.4% 감소했다.
경상조세, 연금, 사회보험에 대한 지출 등을 포함하는 '비소비지출'도 전년대비 10.0% 증가했다. 경상조세와 연금은 각각 29.4%, 12.1% 늘었고, 사회보험도 11.6% 증가했다. 가구간 이전지출은 23만5000원으로 전년대비 6.2% 감소했다.
통계청 박상영 복지통계과장은 "2018년 고용상황이 좋지 못했던 것이 소득분배 상황이 악화되는 큰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시장 상황의 악화 정도가 정부의 소득 분배 상황을 개선시키려고 하는 정책효과를 더 상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는 농어가를 제외한 가구원 2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경상소득과 비경상소득을 수집하는 통계조사로 2003년부터 집계됐다. 2017년까지는 약 55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나, 2018년부터는 조사대상이 전국 8000여가구로 확대됐다.
onjunge02@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