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소연 원장은 21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전시 관련 간담회에서 "3.1운동은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숨은 영웅들이자 지금의 나와 다를 바 없는 우리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만들어 낸 평화 시위였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100년 전 유관순, 이육사, 민족대표 33인만이 독립운동을 한 것이 아니다. 14세 어린 소년부터 78세 어르신까지 학생과 종교인, 인력거꾼까지 모두가 나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1919년을 가슴에 품다'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의 3.1운동 참여와 그 후 여러 사람들의 인생을 다룬다. 전시장 한편에는 3.1운동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담은 녹음본이 있다. 이는 1974년 8월 26일 정석해씨와 민영규 연세대학교 교수가 나눈 대화다. 학생들이 주도한 3.1운동의 상황을 자세하게 들을 수 있다.
|
2부 '임시정부 사람들 조국을 그리다'에서는 상해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상을 조명한다. 그들이 활동했던 공간적 환경과 삶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준다. 3부 '고향, 꿈을 꾸다'에서는 해외에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애쓴 열사들의 삶의 흔적, 후손들의 모습을 최근 사진으로 소개한다.
|
총독부 판결문 원본 자료는 국가기록원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특별히 이 전시에 공개하기로 결정, 세상에 나오게 됐다. 자료의 보호를 위해 2주간만 원본으로, 향후에는 사본이 전시된다.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1919년 고등법원판결문'은 1919년 6월 조선총독부 고등법원이 선고한 상고 관련 재판기록(443쪽)이다. 3.1운동 과정에서 체포돼 재판 받은 96명의 조선인에 대한 항소심 판결 기록이 담겨 있다. 참고로 모두 상고 기각됐다.
|
1층 부출입구에는 중국과 러시아, 미주 등 해외로 떠나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독립운동가의 흔적 및 그들의 후손의 사진과 영상도 전시돼 있다.
'대한독립 그날이 오면'은 오는 9월 15일까지 이어진다. 전시는 무료다.
89hklee@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