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김영호 의원, 한국ㆍ대만 공동소녀상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만 AMA 박물관서 실무진과 논의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김영호<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용수(92) ‘위안부’ 인권활동가와 함께 대만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공간인 AMA 박물관을 찾아 한국ㆍ대만 공동소녀상 설치를 제안했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김 의원은 지난 7~9일 2박3일 일정으로 대만을 찾아 한국과 대만 간 ‘위안부’ 문제에 양국 관심을 촉구하며 이 같은 활동을 했다. 김 의원은 대만에서 머무는 중 집권당인 민진당의 홍야오푸(洪躍福) 총재 비서장과 왕칭펑 법무부장 등 주요 인사들을 만나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촉구했다.

이번 방문은 올해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이뤄졌다.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인권탄압 사례인 ‘위안부’ 문제를 국내외로 알리겠다는 취지다.

대만은 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각지의 위안부 피해국가 중 하나다. 약 20만~30만명의 위안부 피해자 중 대만 위안부는 약 2000~3000명 안팎으로 추정된다. 현재 대만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단 2명이다.

김 의원은 홍야오푸 총재에겐 한국 위안부 문제를 설명했고, 왕칭펑 법무부장을 만나서는 대만 ‘위안부’ 피해자들의 구체적인 현황을 물어봤다. 또 양국 생존 ‘위안부’ 피해자들의 만남 등 연대도 제안했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왕칭펑 법무부장이 김 의원의 제안을 받아 ‘위안부’ 피해자들 간 만남을 주선하겠다고 했다”며 “한국과 대만 사이 접점이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의 공동소녀상 제안은 AMA박물관 실무진에게 직접 전달됐다.

김 의원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만행 중 하나인 ‘위안부’ 문제가 잊혀지지 않기 위해서는 중국과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피해당사국들의 연대가 필요하다”며 “일본의 진정한 사과는 물론, 독립선언서에 쓰인 평등의 정신을 되새길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영호 의원실]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