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37만명 희생된 시리아 내전… 외세 각축전에 악몽 끝이 안보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1년 반정부시위로 촉발, 종파 갈등-IS 세력 확장 영향

美-러 등 강대국 대리전쟁 번져… 인구 절반 1200만명 피란생활

상당수는 교육-의료 사각지대 몰려… 유엔 주도 8조원 재건지원 합의

시리아 내전이 9년째로 접어들었다. 2011년 3월 15일 시리아 남부 소도시에서 반정부 시위로 시작해 미국 러시아 등 강국의 ‘대리전쟁’으로 번진 뒤 수백만 명의 전쟁 난민과 사망자를 낸 시리아 내전의 향방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지난해 9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시리아 반군의 마지막 거점인 이들리브주에 비무장지대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이후 휴전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시리아 철군 결정, 미군의 지원을 받아 온 쿠르드 세력과 터키와의 분쟁은 갈등의 씨앗으로 남아 있다.

1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유럽연합(EU), 유엔 등 국제사회는 시리아 재건을 위해 70억 달러(약 7조9000억 원)의 인도적 지원을 하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시리아 내전으로 발생한 난민 및 피해 주민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리아 지원국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EU 대외관계청(EEAS)은 이날 “국제사회가 안전한 시리아 건설을 위한 유엔 주도 정치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지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영국에 본부를 둔 시리아 내전 감시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에 따르면 만 9년째 접어든 시리아 내전으로 지금까지 약 37만 명이 사망했다. 이 중 민간인이 11만2000명, 어린이가 2만1000명이다. 내전이 벌어지기 전 2100만 명 수준이었던 시리아 전체 인구 중 절반이 넘는 1200만 명이 집을 잃고 피란민이 됐다. 600만 명 정도는 고국을 떠나 터키(360만 명), 레바논(95만 명), 요르단(67만 명) 등에 머물고 있다. 시리아인권관측소는 보고서를 통해 “아직 시리아 국민 300만여 명이 접근 불가능한 지역에 남아 있다”며 “이들은 신변 안전뿐 아니라 음식이나 교육, 의료 등 기본권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리아 내전은 2011년 3월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독재를 비판하는 낙서를 한 학생들이 체포돼 가혹행위를 당한 것이 시작이었다. 아사드 정권이 반대 세력은 철저하게 억압하고, 정치사범은 군사법정에서 엄격하게 처벌하는 등 수십 년 동안 시리아를 통치하고 있던 상황. 열악한 인권 수준에 불만을 품었던 시리아 국민은 이 사건을 계기로 대규모 반정부 시위에 나섰다.

독재 정권의 과도한 탄압이 반정부 시위의 태동을 이끈 셈이지만 이후 시리아 내전은 정부군 대 반군, 정부군 대 반군 대 이슬람국가(IS), 정부군 대 반군 대 이슬람국가 대 쿠르드족이 각축하는 구도로 변화됐다. 미국과 러시아, 터키, 이란 등이 각자의 이해관계를 내세우고 내전에 개입해 점점 복잡해진 것이다.

아사드 정권은 소수 종파인 시아파의 분파 알라위파다. 반대로 대다수 국민들은 수니파이다. 반정부 시위 직후 반군 연합체인 자유시리아군(FSA)에 사우디 등 수니파 국가들이 막대한 자금과 무기를 지원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반대로 아사드 정권은 시아파 종주국인 이란의 지원을 받아 왔다. 미국과 러시아의 개입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것은 2014년. 시리아 내전의 혼란을 틈타 세력을 확장한 IS 격퇴 명분이 개입을 불러왔다.

아사드 정권은 내전 한때 시리아 영토의 20%만 통제할 정도로 수세에 몰렸지만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전세를 역전한 뒤 남부지역을 비롯해 시리아 영토의 70%를 통제하고 있다.

카이로=서동일 특파원 dong@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