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인천 인현동 화재참사 20주기…"공공 기록물 만들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인천 인현동 화재참사 20주기…"공공 기록물 만들어야"
(인천=연합뉴스) 홍현기 기자 = 22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인현동 화재참사 20주기 추모준비위원회'가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 기록물 조성과 추모제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2019.4.22 hong@yna.co.kr (끝)



(인천=연합뉴스) 홍현기 기자 = 학생 등 57명의 목숨을 앗아간 인천 인현동 화재 참사 20주기를 앞두고 희생자를 기리고 유사한 사고가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공공 기록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인현동 화재참사 유족회와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인현동 화재참사 20주기 추모준비위원회'는 22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는 인현동 화재참사 20주기를 맞아 관련된 개인들의 기억을 채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추모준비위원회는 이어 "개인의 기억은 공신력 있는 기관 주도로 기록물로 정리한 후 시민과 함께하는 기념식을 지속가능한 제도와 정책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 인현동 화재 참사는 1999년 10월 30일 불법 영업 중이던 인현동의 한 호프집에서 발생했다. 당시 화재로 호프집에 있던 학생 등 57명이 숨지고 80여 명이 부상했다.

준비위는 "인현동 화재 참사는 인천의 공적 영역에서 잊혀졌으며 정부와 지방 행정의 무책임과 졸속처리로 동네 화재사건으로 왜곡됐다"며 "희생자의 명예는 청소년 일탈로 각인됐고 희생자 유족의 고통은 지금도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시가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이라는 슬로건을 진정으로 이행하려면 지역사회에서 상처받은 시민을 위한 공적 책임과 집단치유를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준비위는 기관·단체별로 따로 진행하던 추모제도 통합 확대하고 추모 기간도 연장할 것을 요구했다.

지역단체 홍예門문화연구소와 인천시교육청·인현동 화재 참사 유족회는 화재 참사 희생자를 기리는 추모제를 10월 29일 밤 9시와 10월 30일 오전에 따로 진행해왔다.

준비위는 또 인현동 화재 참사를 계기로 건립됐던 인천시 중구 인현동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야외주차장에 희생자를 추모할 수 있는 공원을 만들어달라고 인천시교육청에 건의하기도 했다.

문화회관 야외주차장 한편에 마련된 인현동 화재 참사 추모공간은 유족이 직접 조성해 관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현동 화재 참사 추모비
[연합뉴스 자료사진]



ho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