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993억원 추경 편성…비전임 연구자 연구경력 단절 방지
학교 공기정화장치 설치 144억원…국립대 실습실 환경 개선도
© News1 장수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교육부가 올해 인문·사회 분야 시간강사나 박사급 연구자들에게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비 지원을 늘린다. 학교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올 상반기 내 모든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에 공기정화장치도 설치한다.
24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르면, 교육부는 올해 시간강사 연구비 지원, 학교 공기정화장치 확충 등의 명목으로 총 993억원을 추가 편성했다. 올해 본예산은 74조9163억원이다.
교육부 추경안의 핵심은 크게 3가지다. 시간강사나 무소속 박사 학위자들을 위한 연구비 지원을 늘리는 게 그중 하나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총 280억원을 추가 반영했다.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1인당 1400만원씩 총 2000명의 비전임 연구자들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비 지원을 통해 비전임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연구경력 단절도 막겠다는 취지다. 그동안 교수 중심으로 돌아가는 상아탑 사회에서 비주류인 이들이 대학·정부 지원 연구비를 따내는 건 사실상 어려웠다. 따라서 연구경력을 이어나가는 것도 쉽지 않았다.
고농도 미세먼지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학교 공기정화장치 설치 예산도 이번 추경안에 반영했다. 공기정화장치가 없는 국립학교(865개 교실)와 초등돌봄교실(3484개 교실)이 대상이며 추가 편성 예산은 총 144억원이다. 그 외 학교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나 교육청 추경을 통해 설치를 추진할 예정이다.
안전한 국립대 환경 조성을 위해 실습실 개선 비용도 추가 편성했다. 이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것으로 총 349억원이 책정됐다. 대상은 모든 국립대(39개교)이며 이들 학교 내 위험물 취급 저장소 설치, 안전장비 확충 등에 쓰인다.
국립대 석면제거 완료시기를 오는 2026년으로 1년 앞당기면서 관련 예산도 추가로 반영했다. 현재 국립대 35개교가 석면제거 공사를 완료하지 않은 상황이다. 예산은 총 220억원을 추가 반영했다.
kjh7@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