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경 통해 직접일자리 7.3만개 증가 추산"
【서울=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시스】위용성 기자 =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통해 기존 61만개로 운영되던 올해 노인일자리 사업 기간을 두 달간 3만개 더 확대해 운영하기로 했다. 예산은 1008억원을 추가로 투입한다.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추경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가 추경에서 일자리에 재정을 투입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2017년에는 일자리 추경으로 11조원이, 지난해에는 청년일자리와 구조조정 대응책으로 3조8000억원을 편성한 바 있다.
이번 추경에 담긴 일자리 관련 예산은 약 1조8000억원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직접일자리가 7만3000개 늘어날 것으로 추산한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017년 추경으로는 7만9000개, 지난해 추경으로는 2만4000개의 직접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났다.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소 상생형 일자리 명목으로는 31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대기업 퇴직자들이 중소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력형 일자리도 1000개 더 확대한다. 또 중장년층 5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창업 준비자금 지원 사업 예비창업패키지도 신설된다.
추경을 통해 고용·사회안전망도 보강한다. 실업급여 지원인원을 10만7000명 추가 확대하는 데에 8214억원을 투입한다. 최대 연 200만원까지 직업훈련 비용을 지원하는 내일배움카드 사업에도 1551억원이 추가된다. 인문사회분야 시간강사에게는 280억원 가량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저소득층 소득기반 확충을 위해 부양의무자 재산의 소득 환산율을 50%로 인하하는 방안도 당초 계획 시점이던 2022년에서 올해로 앞당기기로 했다.
그밖에도 갑작스럽게 생계유지가 곤란해진 저소득층에는 긴급 생계비 지원을 확대하고, 냉난방용 연료 구입을 지원하는 에너지 바우처 지원대상도 소년소녀 및 한부모 세대까지 확대한다.
up@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