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제주 제2공항, 3가지 운영 해법 꺼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주 성산읍 일대에 건설을 추진 중인 제주 제2공항 운영방안이 제시됐다.

23일 성산읍 성산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국토교통부의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 중간보고회에서 용역진은 기존 제주국제공항과 제2공항 운영에 대한 역할 분담을 두고 ▲제주국제공항은 대형항공사(국제선, 국내선)와 저가항공사 일부(모회사 및 자회사), 제2공항은 저가항공사와 외항사가 이용하는 방안 ▲현 제주공항(외항사 포함)과 제2공항을 항공사별로 나누는 방안 ▲현 제주공항에는 저가항공사만, 제2공항에는 대형항공사와 외항사가 운항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앞서 2015년 제2공항 사전타당성 조사와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에선 기존 제주공항은 국내선 50%, 제2공항은 국내선 나머지 절반과 국제선을 전용하는 안이 제시된 바 있다. 항공 수요는 사전타당성과 예비타당성 조사 및 항공시장 환경변화를 반영한 결과 목표연도인 2055년 4109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선 3796만명, 국제선 313만명 등이다.

용역진은 “향후 이용객과 항공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제2공항 운영방식을 추가로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오는 6월까지 2공항 기본계획 용역을 마무리하고 지역 의견 수렴 및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10월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

용역진은 공항 주변지역 지원 방안으로 소음피해 최소화를 위해 이주단지 조성, 교육환경 개선 및 일자리 제공, 지역특화 산업 및 물류단지 조성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해 반영한다고 덧붙였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