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코뿔소 뿔’ 중국서는 약재로…뿔에 방사성 물질 주입하는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 전문가들이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했다.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밀렵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놓인 코뿔소를 지키기 위한 획기적인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으로 코뿔소를 지키기 위해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남아공은 전 세계 코뿔소의 약 80% 정도가 서식하는 지역이지만 당국의 꾸준한 단속에도 밀렵은 줄어들지 않고있다. 남아공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밀렵으로 희생된 코뿔소가 499마리로 집계돼 전년보다 11% 늘었을 정도. 코뿔소가 밀렵되는 이유는 뿔 때문이다. 코뿔소의 뿔이 중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암이나 기타 질병을 치료하는 전통 약재로 사용되기 때문으로 상당한 고가에 거래돼 밀렵꾼들에게 타깃이 되고있다.
서울신문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 전문가들이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했다.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뿔소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는 것은 밀렵을 방지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지만 획기적인 방법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각 나라 공항의 방사능 검출기에 걸리기 쉽고 만약 이 뿔을 사람이 먹을 시 유해하기 때문이다. 보도에 따르면 남아공 전문가들은 코뿔소를 마취시킨 뒤 뿔에 작은 구멍을 뚫어 이 속에 작은 2개의 방사성 칩을 넣은 방식으로 작업했다.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 방사선 전문가인 제임스 라킨 교수는 “방사성 수치가 매우 낮아 코뿔소의 건강은 물론 주위 환경에도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서 “다만 인간이 섭취하면 유독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코뿔소는 작업 중 전혀 고통을 느끼지 못했다”면서 “이 효과는 5년 동안 지속될 수 있는데, 이는 18개월 마다 뿔을 제거하는 것보다 비용도 저렴하고 효율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코뿔소에 대한 밀렵이 늘어나자 남아공을 비롯한 아프리카 당국은 뿔을 미리 자르는 방식으로 이에 대응해왔다. 그러나 뿔을 제거하면 수컷들 행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

박종익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