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서울 노숙인 전체 숫자는 3478명…5년새 22.8%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오는 2023년 30% 사회복귀 목표 지원

뉴스1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대한적십자사 떡국 나눔 시무식'에서 노숙인 및 독거노인들이 떡국을 받기 위해 줄 서 있다. 2019.1.2/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홍기삼 기자 = 서울시가 집계한 지난해 노숙인 실태조사 결과, 전체 노숙인 수는 347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전인 2013년에 비해 22.8%가 감소한 수치다.

시는 서울시복지재단, 서울노숙인시설협회와 공동으로 2018년 실태조사 결과, 전체 노숙인 3478명 중 거리노숙인은 731명, 시설노숙인은 2747명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남성은 2741명, 여성은 732명, 거리노숙인 중 침낭이나 이불에 숨어있어 성별 파악이 어려운 노숙인도 5명에 달했다.

계절별 노숙인 수를 파악하기 위해 같은 시간대에 거리 특정구역과 노숙인 시설에 거주하는 노숙인 규모를 '일시집계'(Point-In-Time)하는 방법으로 계절별 1회, 연간 총 4회 조사했다.

일시집계 조사에는 지역‧시설별 노숙인 실태를 잘 알고 있는 시설 종사자와 서울시‧자치구 공무원, 자원봉사자 등 170명 내외가 조사원으로 참여했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 매번 조사마다 조사원 사전교육을 실시했다.

노숙인 실태조사 때 노숙인 수 파악 뿐만 아니라 설문조사도 병행했다. 450명 설문 조사결과, 평균연령은 54.6세, 평균 노숙기간은 11.2년이었다. 노숙 시작연령은 42.3세, 직업이 있는 자가 51.2%로 나타났다.

노숙을 하게 된 결정적 계기에 대한 질문에는 부채증가로 인한 신용불량‧파산이 24.1%, 본인 이혼 등 결혼관계 해체가 12.8%, 알코올의존증이 11.1%의 응답률이 나왔다.

서울시는 지난 6년 간의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 최초로 노숙인 자립 지원을 위한 중기 종합계획을 수립, 오는 2023년까지 전체 노숙인 가운데 30%를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설정, 단계적으로 노숙인 수를 줄일 계획이다.

거리노숙인 중에서는 정신질환 등으로 시설 입소를 거부하거나 단체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다수인데 이들에게는 고시원 월세를 지원해 개별 주거를 유지하도록 하거나(임시주거지원), 임대주택과 복지서비스를 결합한 지원주택에 입주하도록 하는(지원주택 사업) 등 '주거 우선 지원'과 개인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사례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한다.

올해에는 900명에 대해 임시주거를 지원하고 지원주택을 대폭 늘려 100호를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노숙에서 벗어나는데 꼭 필요한 일자리 지원도 강화한다. 개인별 근로능력을 평가해 노동능력이 아주 미약한 경우 쇼핑백 접기 등 공동작업장을 제공하고 단계적으로 반일제‧전일제 등 총 1200개의 공공일자리를 지원하는 한편, 안정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민간 일자리 1520개 연계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병기 서울시 자활지원과장은 "서울시는 실태조사와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노숙인 자립지원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여 노숙인들이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를 회복하여 지역사회 주민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겠다"며 "시민 여러분께도 따뜻한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argus@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