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시작부터 '삐걱'… 대구시 신청사 ‘공정경쟁’ 협약 파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25일 오후 대구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대구광역시 신청사 건립 성공 추진을 위한 협약체결'에서 현 대구시청이 있는 중구의 류규하 중구청장이 신청사 부지선정 방식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며 회의장을 떠나 류 구청장의 자리가 비어 있다. 연합뉴스


대구시가 25일 오후 신청사 건립의 성공 추진을 위해 8개 구·군과 마련한 협약식이 파행했다.

대구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신청사 건립 성공 추진을 위한 협약식에는 권영진 시장, 배지숙 시의회 의장, 8개 구청장·군수, 구·군의회 의장, 김태일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행사는 시작부터 사전 청사이전 타당성 조사를 요구하는 중구 측과 상호 신뢰·협력 협약 뒤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를 통해 문제를 풀어간다는 대구시 입장이 맞서면서 신경전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류 중구청장의 거듭된 주장에 권영진 시장은 “대구시청 청사가 중구 만의 청사냐”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류 중구청장은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 되죠”라고 맞받았다.

김태일 공론화위원장은 “낡고 협소한 현 청사를 그대로 둘 수 없다는 것에는 시민 합의가 있는 것 아니냐”면서 “공론 민주주의는 사회 통합적 의결 방법이며 중구청도 이런 틀 안에서 시민을 설득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시청사의 현 위치 존치를 주장하는 류규하 중구청장과 오상석 중구의회 의장은 행사 시작 40여분 만에 협약 서명 없이 자리를 떴다.

이날 시청 신청사가 중구 존치가 아닌 다른 구·군으로 이전하게 될 경우 도심 공동화 문제 해결을 위한 ‘반대급부’ 마련 문제도 언급됐으나 김 위원장은 “정치적 거래 시비가 있을 수 있다”며 반대급부는 없다고 일단 선을 그었다.

중구를 제외한 7개 구·군과 대구시, 시의회가 서명한 협약서에는 조례에 정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결정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고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며 과열 유치행위 자제, 공론화위의 후보지 신청기준, 예정지 선정기준 의결사항 수용 등 내용이 담겼다.

시가 이날 협약에 나선 것은 시청사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구·군 사이에 경쟁이 과열돼 자칫 신청사 건립이 좌초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대구시 신청사는 8개 구·군 가운데 중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 4곳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4개 구·군은 신청사 유치를 위해 거리 곳곳에 홍보 현수막을 걸고 연구용역을 발주해 저마다 유치 논리를 개발하고 있다.

1993년 도심인 중구 동인동에 들어선 대구시청사는 시설이 낡고 업무·민원 공간이 부족해 신축 또는 이전 논의가 계속돼왔다.

오는 10∼11월 8개 구·군을 상대로 후보지 신청을 받아 12월에 시민참여단 평가를 거쳐 최종 건립 부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현재 북구, 달서구, 달성군 3곳은 저마다 강점을 내세우며 신청사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고 중구는 상권 타격, 도심 공동화 등을 우려하며 이전을 반대 현 위치 신축을 주장하고 있다.

대구=문종규 기자 mjk20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