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오늘을 밝히는 오월, 진실로! 평화로!'…5·18 전야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80년 5월 열흘간 항쟁 재현…세월호 유족·위안부 아픔 공감 '대동 정신' 실현

연합뉴스

1980년 그날로 돌아간 광주 금남로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에서 5·18 민주화운동 당시 가두방송 재연에 나선 시민이 이날 저녁 열리는 '5·18 39주년 전야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2019.5.17 hs@yna.co.kr



(광주=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금남로에서 5·18 39주년 전야제가 열렸다.

전야제는 오후 7시 30분부터 3시간 동안 광주 동구 금남로 5·18 민주광장 일대에서 '오늘을 밝히는 오월, 진실로! 평화로!'를 주제로 열렸다.

5·18 민주광장은 시민군의 최후항전지인 옛 전남도청(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앞으로, 1980년 5월 16일 광주 지역 대학생들과 시민 주도로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하는 횃불 시위인 '민족민주화성회'가 열린 곳이다.

연합뉴스

5·18 39주기 앞둔 광주도심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18 민주화운동 39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대형 태극기 만들기 시민난장이 펼쳐지고 있다. 2019.5.17 hs@yna.co.kr



전야제에 앞서 정당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 1천여명이 '민주평화 대행진'을 했고 5·18 희생자 유가족 어머니들과 시민군, 오월풍물단이 행진단을 맞이했다.

이날 행사는 1980년 5월 열흘간 항쟁을 재현하고 5·18 진상규명 촉구와 대동 정신 계승 등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과제를 제시하는 내용으로 마련됐다.

전야제에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여야 4당 지도부와 이용섭 광주시장 등이 참석했다.

본격적인 전야 행사는 5·18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1980년 당시 도청 앞 발포와 헬기 기총소사를 상징하는 퍼포먼스와 함께 시작됐다.

이어 시민군과 5·18 유가족 어머니, 민족민주열사 트럭, 시민들이 대오를 이뤄 기록관에서 전일빌딩까지 태극기를 들고 행진하며 39년 전 시민들의 저항을 떠올리게 했다.

택시와 버스들도 전조등을 켜고 경적을 울리며 행렬을 따랐다.

전일빌딩 앞에서는 어머니들이 나눠주는 주먹밥을 먹으며 39년 전 공동체를 재현한다.

5·18 당시 여고생이었을 세월호 엄마, 위안부 소녀와 함께 손을 잡고 도청으로 진군하는 행사를 통해 시대의 아픔을 공감하고 노력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5·18 진실 규명과 역사왜곡특별법 제정을 촉구는 무대도 펼쳐진다.

이날 행사는 시민과 풍물패가 어울려 대동정신을 구현하며 마무리된다.

areu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