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금융전문가들 "미·중 무역분쟁, 한국 성장세 둔화가 위험 요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중 무역분쟁과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 1년내 위험요인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 1~3년내 위험 요인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우리나라 금융 전문가들은 1년 안에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이 될 것으로 손꼽았다. 수출 감소를 포함한 기업실적 부진, 세계경기둔화 ,가계부채 누증도 리스크를 부추기고 있다고 했다. 다만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개선됐다.


21일 한국은행은 금융업 관련 담당자 96명의 의견 담은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들이 선정한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 집계한 단순 응답 빈도수 기준으로 미·중 무역분쟁(67%),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 기업실적부진(4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44%)로 조사됐다. 1위 응답빈도수 기준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둔화(11%), 가게부채 누증(9%) 순으로 나타났다.


미·중 무역분쟁과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대체로 1년 이내,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중기(1~3년 )에 현재화 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미·중 무역분쟁과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발생 가능성이 중간 정도인 리스크로 조사됐다. 영향력으로 따졌을 땐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제 성장세 둔화는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크다고 판단했다.


1년 이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해 11월 조사 시점에 비해 낮아졌다. '높다'고 응답한 비율이 29%에서 4%로 하락한 반면, '낮다'는 비율은 27%에서 52%로 상승했다. 1~3년 사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소폭 낮아졌다. '높다'는 비율은 40%에서 34%로 떨어진 반면, '낮다'는 비율은 16%에서 24%로 상승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의 발생 가능성이 하락한 가운데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도 개선됐다. 안정성이 '높다'는 비율은 37%에서 50%로 상승했고, '보통'은 56%에서 44%, '낮다'는 7%에서 6%로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4월22일부터 5월14일까지 79개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금융전문가 96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이뤄졌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