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트럼프, 이란 위협 언급하며 사우디에 무기 판매 강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이란의 위협을 비상사태로 보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요르단에 무기 판매를 강행하기로 했다. 당초 추진했던 무기 판매가 의회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트럼프 정부는 의회의 승인 없이 무기 판매를 결정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24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트럼프 정부가 사우디와 UAE, 요르단에 무기 판매를 진행하기로 했다면서 이란이 제기한 불안정을 언급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번 판매는 우리 동맹국을 지원하고 중동의 안정을 강화하며 이란으로부터 이 나라들이 스스로 방어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폼페이오 장관은 의회 승인 없이 무기 판매를 진행하는 것이 이번 한 번의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우디에 무기 판매를 반대해 온 의원들은 즉각 반발했다. 상원 외교위원회 소속 밥 멘데레스(민주·뉴저지) 의원은 “나는 실망했지만, 트럼프 정부가 다시 한번 우리의 장기적 국가 안보 이익을 우선에 두거나 인권을 보호하는 데 실패하고 사우디와 같은 독재국가에 호의를 보여주는 것이 놀랍지는 않다”고 밝혔다.

크리스 머피(민주·코네티컷) 상원의원은 트럼프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것이 의회가 해당 거래를 반대했기 때문이라며 사우디에 폭탄을 팔 비상사태는 없다고 주장했다.

뉴스핌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연방법은 정부가 무기 판매를 하기 전에 의회에 알려야 하도록 규정하고 의회에 이를 막을 기회를 부여한다. 그러나 이 법은 대통령이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을 위해 필요할 경우 비상사태를 선포해 의회의 승인을 비껴갈 수 있게 했다.

앞서도 미국 정부는 이 같은 비상사태 예외 조항을 이용해 사우디에 무기를 팔았다.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1980년,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각각 1991년 걸프전과 2003년 이라크전에 이를 통해 사우디에 무기를 판매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애 따르면 이번 거래는 각각의 22개 계약으로 규모는 8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mj72284@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