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행안부, 우즈벡 등 12개국에 전자정부 노하우 전파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우리나라 전자정부 수출 지원에 나선다.

행안부는 27~31일 상반기 '전자정부 정책관리자 과정'을 열고 개발도상국 전자정부 발전과 우리기업 수출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한국형 전자정부 모델 글로벌 확산과 전자정부 수출기업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상·하반기에 개최한다.

전자신문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 본관. 박종진기자 truth@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반기에는 우즈베키스탄 등 12개국에서 전자정부를 담당하는 고위급 공무원 12명이 참여한다. 참가자는 '한국 전자정부 정책 및 비전' 소개를 시작으로 12개국 전자정부 정책과 추진현황을 공유한다. 전문가 조언과 함께 각국 상황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삼성SDS,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가기록원, K-ICT 빅데이터센터, 판교 테크노밸리 등을 방문해 전자정부 구축 노하우를 체험한다. 해외사업을 추진하는 전자정부 기업과 연수생 간 간담회를 열고 전자정부 구축 협력을 모색한다.

참여국 중 튀니지, 파라과이, 세르비아는 우리나라와 전자정부 분야 협력이 활발하다. 이번 초청을 계기로 전자정부 협력센터와 전자정부 공동사업에 대한 구체적 사업목표를 설정한다.

우즈베키스탄은 한국 오픈데이터, 빅데이터 정책에 관심이 많다. 4월 정상회담 이후 전자정부 협력을 강화한다. 우간다는 2016년 6월 상호양해각서(MOU) 교환 이후 꾸준히 협력 중이다. 지난해 정부행정 효율화를 위한 시스템을 수출했다.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데이터 분야 협력에 관심을 나타낸다.

동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는 클라우드 활성화, 오픈데이터, 빅데이터 정책에 관심이 높다. 온두라스는 전자정부 성과관리와 서비스분야 실행에 있어서 다양한 분야 경험 공유를 요청했다.

에콰도르에는 2016~2017년 선거개표 전송 시스템을 수출했다.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과 스마트시티, 인공지능(AI) 분야 등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정부 혁신이 주요 관심사다. 태국은 중소기업 혁신지원 시스템 구축 정책 자문사업을 추진했다. 이번 연수에서 전자정부 서비스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실행하는 전자정부 성과평가 관리 등 정책 관련 경험을 희망했다.

말레이시아는 버스정보, 교통센터, 스마트시티 구축 등 한국시스템이 다수 수출됐다. 국내 사물인터넷(IoT) 정책과 전자정부법, 제도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최장혁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이번 과정에서 한국 전자정부 도입을 검토하는 국가 고위공무원에게 국내 선도적인 전자정부 정책, 사이버보안시스템, 혁신적 클라우드 정책 등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며 “참가자와 전자정부 구축기업 간 간담회를 추진, 한국 전자정부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 SW 전문기자 riv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