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코어라인소프트, AI 폐색전증 진단 보조 솔루션 '혁신의료기기'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인공지능(AI) 폐색전증 진단 보조 솔루션 '에이뷰 피이'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AI을 활용해 폐색전증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진단을 보조하는 소프트웨어(SW)다. 폐색전증 진단 보조 부문에서 국내 최초로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전자신문

코어라인소프트 '에이뷰 피이' 실행 화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폐색전증은 폐동맥이 막히면서 폐가 기능을 못하는 병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30%에 이르고, 적절한 항응고 치료를 시행하면 사망률이 2~8%로 감소하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조치가 중요하다.

미국에서도 폐색전증 진단보조 SW가 출시돼 병원에서 임상적 유효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주로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환자를 의료진에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이뷰 피이는 해당 기능 외에도 폐색전이 의심되는 부위를 직접 표시해 의료진이 폐색전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앞서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뇌출혈·대동맥박리 진단 보조 제품에 더해 응급 의료 솔루션까지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게 됐다.

실제 회사는 올해 1월 AI 기반 뇌출혈 진단보조 SW '에이뷰 뉴로캐드'가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데 이어 2월에는 심혈관영상검출·진단보조 SW '에이뷰 에이올타'도 지정 받았다.

박준민 코어라인소프트 최고제품책임자(CPO) 상무는 “이번 혁신의료기기 지정으로 에이뷰 에이올타와 에이뷰 피이가 응급진료 영역으로 신속히 보급돼 응급실에 흉통이나 호흡곤란으로 내원하는 중증환자들의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보조해 환자의 예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며 “응급실 진료 환경에 최적화된 의료 영상 플랫폼의 완성도를 높여 비급여 진입과 수가 확정에 따른 단계별 마케팅 전략을 적극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