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진 지난해 8월 송파소방서 가락 119 안전센터 소방대원들이 서울 송파구 화훼마을 골목길에 물을 뿌리고 있다. / 사진=홍봉진기자 honggga@ |
폭염 등 기후변화로 국민들이 향후 30년간 감당해야 할 누적 의료비가 100조원을 돌파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폭염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보다 국민 건강에 위협적이라며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설명이다.
정해관 성균관대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교수는 2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심각해지는 기후재앙:포럼 어떻게 극복하나’ 토론회에서 이같은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현재 추세로 저감 없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RCP 8.5 기준·이산화탄소 농도 940ppm) 2050년까지 폭염 등 기후변화로 인한 누적건강비용은 101조4000억원으로 추산됐다. 2020년까지 16조2000억원, 2030년까지 38조3000억원 수준이다.
그러면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행되는 경우(RCP 4.5 ·이산화탄소 농도 540ppm) 2050년까지 기후 변화로 인한 누적건강비용은 62조9000억원으로 줄어든다고 밝혔다. 2020년까지 13조7000억원, 2030년까지 30조2000억원이다. 폭염 대책 등을 통해 수십조의 의료비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 교수는 또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기후 변화 중 폭염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보다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심혈관·뇌혈관 질환을 가진 이들에게 폭염은 치명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온도가 약 30도(℃)를 넘어서면서 사망자는 급증한다고 밝혔다. -10℃에서 20℃ 중후반까지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사망자가 감소하나 이후 구간에서 사망자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폭염이 기승을 부렸던 1994년 7월 중순부터 한달간 사망자가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또 농촌 주민이나 주거 약자가 폭염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채여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신안, 보성, 임실, 남해 등 농촌 지역에서 폭염으로 인한 발병률이 1만명당 20~40명 수준으로 높았다. 반면 대구는 이들보다 장기간 폭염이 지속됐으나 발병률은 1만명당 5명에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채 연구위원은 "폭염 영향은 기상·사회·경제·환경적 요인의 복합 함수"라며 "꼭 기온과 비례하는 것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이어 "야외에서 일하시는 분들, 쪽방촌 등 취약한 주택구조에 계신 분들이 폭염에 취약하다"며 "지역·소득·직업·공간 특성에 따른 온도 및 영향 차이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국회기후변화포럼의 공동대표인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사상 유례 없는 폭염을 경험했고 올해는 미국에서 최근 토네이도가 몇백개 발생하고 있다"며 "지구 도처에서 기후변화 관련된 재앙 수준의 일들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어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스스로 재앙 속에서 쓰러질 수밖에 없다"며 "끊임 없이 문제를 이야기하지 않으면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전의찬 세종대 교수가 사회를 맡았고 강현수 국토연구원장, 서왕진 서울연구원장, 이창석 서울여대 교수 등이 참석해 토론했다.
2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심각해지는 ’기후재앙:포럼‘ 어떻게 극복하나’ 토론회가 개최됐다. / 사진=이원광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원광 기자 demi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