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WEF 에너지 전환체계 평가…韓, 32개 선진국중 2년째 최하위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에너지전환지수 58점…탄소배출 등 환경적 지속가능성 미흡 평가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우리나라가 에너지 시스템 전반에 관한 평가에서 32개 선진국들 가운데 2년 연속 최하위권에 랭크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경제성장률과 에너지 사용의 안정성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1인당 에너지 소비량, 탄소 배출량 등 환경적 지속가능성에서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경제포럼(WEF)이 최근 발표한 국가별 에너지 전환 지수(ETI·Energy Transition Index) 순위 명단에서 한국은 조사 대상 115개국 가운데 48위를 차지했다.

에너지 안보와 환경적 지속 가능성, 경제성, 미래 준비 태세 등을 지표로 삼아 점수를 매긴 이번 평가에서 한국은 100점 만점에 58점을 받았다.

연합뉴스

에너지 산업 (PG)



특히 WEF는 115개국을 선진국, 유럽 개발도상국, 아시아 개발도상국,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연안국 등 7개 범주로 분류했는데, 한국은 선진국 진영(32개국)에 포함됐지만 작년처럼 체코와 그리스만을 제치고 30위에 머물렀다.

지난해 평가에서 한국이 ETI 56점으로 전체에서 49위를, 선진국 진영에서 30위를 기록한 것에 비해 별다른 진전이 없는 셈이다.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정책이 시작된 지 2년 가까이 됐지만 여전히 한국의 에너지 전환 대비 수준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다는 평가다.

종합 1위는 75점을 받은 스웨덴이었고, 스위스(74점), 노르웨이(73점), 핀란드(73점), 덴마크(72점) 등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높은 점수를 받은 북유럽 국가들이 선두권에 대거 포진했다.

아시아 국가들 가운데서는 싱가포르(67점)가 13위로 가장 높았고, 일본(65점)은 18위를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전환 선진국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산업 전반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한편, 에너지 믹스에서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에너지 전환지수' 한국 32개 선진국중 30위
[세계경제포럼 캡처]



이어 "에너지전환은 이제 세계적으로도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정부는 고효율·저탄소 에너지 구조의 정착을 위해 국민적 공감대 조성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7.6% 수준인 재생에너지 비중을 2040년까지 30∼35%로 확대하고 원자력발전과 석탄발전을 감축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믹스로 전환하는 내용의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

sungji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