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시 심폐소생술로 생존 비율 10.4%···선진국과 근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3년간 심폐소생술(CPR) 시행을 통해 소생한 환자의 비율이 평균 10.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시는 7일 최근 3년간 발생한 심폐소생술 시행 환자는 2016년 4,238명, 2017년 3,942명, 2018년 4,10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중 소생한 인원은 2016년 426명(10%), 2017년 434명(11%), 2018년 420명(10.2%)으로 집계됐다. 2016년 기준으로 선진국 심정지 환자 생존율은 영국 13%, 미국 12%, 일본 10.8%로 서울시의 소생률 10.4%는 선진국 수준에 근접한다는 분석이다.

올해의 경우 지난달 말 기준으로 1,713명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소생한 인원은 180명(10.5%)이었다.

가슴압박 심폐소생술을 심정지 1분 내 시행할 경우 소생률은 97%에 달한다. 2분 내 90%, 3분 내 75%, 4분 내 50%, 5분 내 25% 순으로 시간이 지연될수록 소생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열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심정지의 경우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 환자 주변에 있는 사람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시민들이 심폐소생술 요령과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을 숙지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미경기자 seouler@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