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벼르는 트럼프 버티는 시진핑, G20 오사카 담판이 분기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시 주석 만나지만 아마 계획대로 할 것"

시진핑 "중 수출 의존 줄고, 내수가 성장 76%"

첸더밍 전 상무 "미중 빠른 합의 가능성 낮아,

무역전쟁 계속 끌면 3~5년 장기전 될 수도"

중앙일보

시진핑 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AP=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는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미ㆍ중 무역전쟁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이 자리에 참석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의 담판 결과에 따라 지구촌이 출렁거리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장기전을 준비하는 시 주석을 향해 G20에서 원하는 응답을 듣지 못할 경우 관세 폭탄을 날리겠다는 최후통첩성 경고를 내보냈다.

유럽 순방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만나 오찬 회동에 앞선 회견에서 “언제 추가 관세 부과를 결정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향후 2주가 지난 뒤 아마도 G20회의 직후에 그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느 쪽으로든 G20 이후에는 내가 결정을 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이어 “나는 시진핑 주석을 만날 것이고 무슨 일이 벌어질지 지켜보겠지만 아마도 G20 이후에 그것을 계획할 것”이라고 했다.

시 주석과의 G20 담판에 여지를 열어두는 동시에 미국의 무역협정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 계획대로 나머지 3000억 달러의 중국산 수입품에 25%를 관세를 매기겠다는 예고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로 출발하기에 앞서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서도 기자들에게 “최소 3000억 달러 어치(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또다시 (관세를) 올릴 수 있다”면서 “적절한 시기에 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미국은 지식재산권 보호, 강제 기술이전 중단, 환율조작 중단 및 국영기업 보조금 축소 등을 입법으로 보장하라고 중국에 요구하고 있다.

반면 시 주석도 G20을 앞두고 대미 항전의 전면에 나섰다. 러시아 방문에 앞서 시 주석은 “수출 의존도가 줄면서 내수 소비가 지난해 성장의 76%를 차지했다”며 “중국은 모든 위험과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조건과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5일(현지시간) 크렘린 궁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엔 화웨이의 차세대 통신장비(5G) 네트워크를 러시아 전역에 구축하는 계약을 따냈다.

이처럼 두 정상 모두 양보 의사가 없는 상황이어서 G20 담판에서 극적 합의가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첸더밍 전 중국 상무부장은 6일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양국이 빠른 합의에 이를 가능성은 작게 본다”며 “현재 무역분쟁이 3~5년까지 장기전으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첸 전 장관은 “미국이 중국과 현재 같은 태도로 대화할 경우 이 상황은 오래 끌 것”이라며 “중국도, 미국도 버티면서 결국 전 세계가 이를 감내하며 세계 경제가 후퇴하는 걸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데이비드 달러 브루킹스 연구원도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에 “시 주석이 일본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거절하는 상황이 벌어져도 놀랍지 않을 것”이라며 “사전 협상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요구 모두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정대로 관세를 진행할 것’이라고 나올 경우 실패한 협상가로 입게 될 타격이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부정적 전망이 사실이 될 경우 G20을 기점으로 국제사회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어느 쪽을 택해야 할지 고민해야만 하는 무역 신냉전, 디지털 신냉전의 시대로 더욱 접어들 가능성이 커진다. 단 워싱턴 외교가에선 나머지 G20 정상들이 미ㆍ중 사이에 적극 중재에 나서겠다는 계획이어서 이들의 집단적 중재가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