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동차 회사의 탄생을 막은 건 세계 경제 침체에 따른 각국의 '일자리' 문제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르노(왼쪽)와 FCA의 합병 논의는 11일만에 결렬됐다. [EPA·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탈리아-미국계 완성차 업체인 피아트 크라이슬러(FCA)와 프랑스 르노의 합병 논의가 좌초된 것은 ‘일자리’ 때문이란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경제 위기 상황에서 자국 내 일자리가 줄어들 것을 우려한 각국의 셈법 때문이란 의미다.
로이터통신은 7일(현지시간) 프랑스 재정경제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르노와 FCA의 합병안)은 사업성과 일자리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어려운 문제”라고 전했다. 브뤼노 르메르 재정경제부 장관은 지난달 27일 FCA의 공식 합병 제안이 나온 직후에도 “두 회사가 합병하더라도 프랑스 내 일자리와 설비는 유지돼야 한다”고 제동을 걸었다.
프랑스 정부는 르노와 FCA 합병 과정에서 자국 내 일자리 축소에 거부감을 보였다. 브뤼노 르메르 재정경제부장관은 "프랑스 내 일자리와 설비가 유지돼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르메르 장관이 지난 5월 철강 노조와 면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하는 모습. [EPA=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빅 딜’의 발목을 잡은 건 글로벌 경기 하락과 자동차 산업의 부진, 그리고 고용 문제에 민감한 각국 정부의 서로 다른 입장이었다. 도미니크 세나르 르노그룹 회장은 지난달 28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월례 이사회에 참석하며 합병을 서둘렀지만 일본 측 파트너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이카와 히로토 닛산 최고경영자(CEO)는 르노-FCA 합병에 대해 "르노와 닛산의 관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미온적 태도를 보였다. 지난 5월 사이카와 CEO가 기자회견하는 모습.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각국, 자동차發 일자리 감소 공포
완성차 업체들이 ‘합종연횡’을 도모하는 건 세계 자동차 시장이 격변기를 맞고 있어서다. 내연기관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환경규제·미래차 개발·공유경제의 확대·무역전쟁 등 악재가 쏟아지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를 앞세워 수입 자동차의 시장점유율을 줄이려는 것도 자국 내 생산을 통해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다. [EPA=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노딜 브렉시트’(영국이 아무런 합의 없이 유럽연합(EU)을 탈퇴하는 것) 우려가 높아지면서 영국에 생산설비를 둔 완성차 업체들의 탈출이 줄을 잇고 있다. 일본 혼다가 2021년 스윈던 공장을 폐쇄하기로 한 데 이어 미국 포드도 2020년 9월까지 웨일스 지역의 브리젠드 엔진공장을 문 닫기로 했다. 닛산 역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엑스트레일’ 신형모델의 선덜랜드 공장 생산계획을 철회했다.
영국 최대 노동조합인 유나이트 더 유니언의 렌 맥클러스키 사무총장이 지난달 영국 런던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혼다의 스윈던 공장 폐쇄 결정 반대 집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