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광운대 연구진, 암치료 적용 가능한 플라즈마 연구성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은하 전자바이오물리학과 교수팀 논문 ‘MSER’ 게재

플라즈마 내 활성기체, 암세포와의 상호작용 등 규명

이데일리

최은하 광운대 전자바이오물리학과 교수(사진=광운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광운대 연구진이 암 치료 등에 적용 가능한 플라즈마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광운대는 교내 바이오과학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는 최은하 전자바이오물리학과 교수가 이러한 연구성과를 거뒀다고 7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생체재료과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MSER(재료과학 및 공학 보고서)’에 개재됐다.

그간 암 치료에 적용 가능한 플라즈마 관련 연구가 진행됐지만 암세포와의 상호작용 모형·이론은 밝혀지지 않았었다. 생체에 적용 가능한 플라즈마를 바이오 플라즈마라고 하는데 여기서 발생하는 활성기체가 피부에 침투하는 깊이나 원리 등이 규명되지 않아서다.

최 교수팀은 플라즈마 내의 활성기체 등이 피부조직을 지날 때 발현되는 침투현상과 암세포 조직과의 상호작용 등을 밝혀냈다. 광운대 관계자는 “이번 연구 성과는 유연한 재료의 특수처리에서부터 피부질환, 암 치료에 이르기까지 넓게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