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숭실대 박물관, 조선후기 실학자 홍대용 서신 첫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문인과 주고받은 서신 등 총 51통 최초 공개

“서학까지 수용하려 한 실학자 홍대용 사상 확인”

이데일리

홍대용 자료집 ‘간정록’ 표지(사진=숭실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조선시대 실학자 홍대용(1731~1783)이 18세기 말 중국 문인들과 주고받은 서신 51통이 처음 공개됐다. 숭실대는 홍대용의 필담과 평지 등을 담은 미공개 자료 ‘간정록’, ‘간정후편’, ‘간정부편’ 등 총 5권의 영인본을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강정록은 홍대용이 1765년 북경에서 머물렀던 4일간의 기록으로 중국 문인들과 주고받은 필담과 서신이 담겼다. 간정후편(총 2권) 역시 홍대용이 중국 문인들과 주고받은 서신 등 총 37통을 합쳐 편집한 것이다. 간정부편(총 2권)에는 홍대용이 1766년부터 1778년까지 중국 문사들과 주고받은 서신 등 85통이 수록돼 있다.

숭실대 관계자는 “홍대용과 중국 문인들이 주고받은 서신을 통해 주자학 혁신을 위해 서학까지 과감히 수용하고자 했던 홍대용 사상의 진취성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는 종전 홍대용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자료들로 홍대용 연구를 보완하고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간정후편에 수록된 서신 7통과 간정부편에 수록된 서신 44통은 다른 문헌에선 필사돼 있지 않은 자료로 이번 발간으로 처음 공개된다.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은 고 김양선 숭실대 교수의 기증으로 1967년부터 해당 자료를 보관해 왔으며 그간 일부 연구자들에게만 제한적으로 공개해 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