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8시간 조사받고 귀가(종합 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3∼4월 경찰과 충돌을 빚은 국회 앞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경찰조사를 받기 위해 7일 오전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3~4월 국회 앞 폭력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7일 경찰에 출석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약 8시간 조사를 마치고 업무로 복귀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10시께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출석했다. 이후 약 8시간 만인 6시45분께 경찰서를 나와 귀가했다.

민주노총은 김 위원장이 조사를 마친 후 "문재인 정부가 아무리 민주노총의 입과 손발을 묶는다고 하더라도 최저임금 1만원, 비정규직 정규직화, ILO 핵심협약 비준 실현 등 노동기본권을 쟁취하기 위한 요구와 투쟁은 중단없이 이어진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책임과 고통은 노동자에게 떠넘기고, 권한과 이익은 재벌에게 돌리는 부당한 정책을 중단하라"며 "지금 당장 구속자를 석방하고 노동기본권 실현 약속에 대한 책임을 다하라"고 요구햇다.

이날 출석에 앞서 김 위원장은 영등포경찰서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노총 투쟁에 대한 견해와 조사에 응하는 이유, 정부에 대한 요구 사항 등을 밝혔다.

그는 "민주노총의 지난 3~4월 저항은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 악순환에 빠진 한국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투쟁이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사업을 총괄하는 위원장에게 돌아가야 할 책임을 단순히 실무를 맡은 민주노총과 가맹조직 간부들의 작은 책임에 맡긴다면 노동자 전체의 생존이 달린 막중한 책임은 어떻게 감당할 수있겠냐는 것이 제 입장"이라며 "당당히 경찰 조사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약속한 정책을 책임지고, 구속된 노조 집행 간부들을 석방하라"고 덧붙였다.

김호규 금속노조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조사를 받기에는 절차와 내용의 근거가 희박하다고 생각한다"며 "조사가 필요하면 분명히 하겠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행태가 벌어지는게 지금 정부"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3월27일부터 4월3일까지 국회 정문 앞에서 총 3차례에 걸쳐 열린 '노동법 개악 저지' 집회에서 국회 담장을 무너뜨리는 등 조합원들의 국회 경내 난입, 불법행위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총 74명을 피의자로 특정해 조사를 진행했다. 이중 한 명인 김 위원장에 대해서도 지난 4월 중 두 차례 출석을 요구했지만 김 위원장은 두 차례 모두 응하지 않았다.

onsunn@fnnews.com 오은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