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 놓고 '민민갈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연안동 자생단체협의회 기자회견
[촬영 신민재]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 올해 말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에 따라 문을 닫는 기존의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을 둘러싼 의견 대립이 지역 주민 간 갈등으로 치닫고 있다.

인천 중구 연안동자생단체협의회는 11일 중구 구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연안여객터미널로 활용하자는 옹진군과 시민단체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주민자치위원회와 통장자율회 등 자생단체들은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는 지역의 랜드마크로 만들어 인구 유입을 꾀하고 지역경제 공동화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 용역과정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은 옹진군이 이제 와서 용역결과 이행을 저지한다면 13만 중구민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천항만공사는 2015년 6월부터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시, 중구, 내항 재개발 비상대책위원회 등과 민관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용역을 통해 중구 연안동에 있는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을 마련했다.

항만공사는 터미널 부지를 매각해 해안특화상가가 포함된 주상복합을 건립할 계획이다.

제1국제여객터미널의 감정가는 부지(5만3천200㎡)와 건물(2만5천500㎡)을 합쳐 1천140억원이다.

이 방안에 대해 100개 섬으로 이뤄진 인천 옹진군과 지역의 일부 시민단체는 올해로 24년째 사용 중인 인천 연안여객터미널이 너무 낡고 좁다며 항만공사가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매각하지 말고 연안여객터미널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smj@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