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美보다 1.5년 뒤처진 韓 VR 기술…"단·장기 전략 수립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평가되는 가상현실(VR) 분야에서 한국의 원천 기술력이 미국보다 1.5년 이상 뒤처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 차원의 중장기적 산업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14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보고서에서 단기·중장기적 전략을 세워 VR 산업 기반 기술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은 최근 VR 기초·응용 연구를 재난,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비즈

국내 중소기업들의 VR 시뮬레이터. /황민규 기자



VR은 사용자의 오감을 가상공간으로 확장, 환경 제약으로 경험하지 못했던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총체적 기술을 말한다. 증강현실(AR)은 현실 공간에 가상 영상 정보를 합성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하며 최근 부상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은 가상, 증강현실의 요소를 혼합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한 기술이다.

VR은 특히 사람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혁신을 촉발할 것이라는 점에서 4차 산업혁명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019년 전략 기술 중 하나로 VR, AR, MR을 포함한 몰입형 경험 기술을 선정했다. 가트너는 몰입형 기술의 거품이 제거되고 본격적인 성장 및 상용화 시기에 돌입했다고 분석했다.

해외 주요국은 이에 발맞춰 관련 산업 육성과 생태계 조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가장 기술적으로 앞서 있는 미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국방부를 중심으로 국방, 재난, 의료 등에 VR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를 민간 기업에 이전해 시장 생태계 조성을 주도하고 있기도 하다.

IITP는 보고서에서 "미국, 일본, 중국, EU는 VR, AR에 대한 전략수립과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특히 공공 R&D 사업을 통해 민간 확산을 본격화한 상황"이라며 "스타트업 육성으로 창업 분위기를 고취하고 신시장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까운 일본은 정부가 팔을 걷고 산업 육성에 뛰어들었다. ‘소사이어티 5.0’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일본은 총무성, 경제산업성, 문부과학성이 직접 주도해 과학연구보조금 지원 제도를 확립한 후 계속해서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VR 연구개발 지원을 포함한 과학연구비 예산만 2288억엔(한화 2조5000억원)에 달한다.

재난, 의료, 교육 등 공공 분야에서 정부가 직접 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대부분 민간 주도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ITP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VR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동시에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응용기술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VR 기술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스타트업의 한 관계자는 "VR이나 AR 콘텐츠 서비스는 세분화된 시장 수요를 빠르게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진입이 용이하다"며 "미국, 영국 등지에서는 각종 유망기업 발굴 및 상업화 컨설팅을 통해 선순환 체계를 안정화하고 있다"고 했다.

황민규 기자(durchma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