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붉은 수돗물’ 인천시 부실대응 도마...막대한 혈세투입 불가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인천시가 ‘붉은 수돗물 사태’ 초기 미흡한 대응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동시에 박남춘 인천시장은 사태 발생 19일째 ‘늑장 기자회견’으로 시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이번 사태로 막대한 혈세투입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뉴스핌

[인천=뉴스핌] 정일구 기자 = 조명래 환경부 장관(오른쪽)과 박남춘 인천시장(왼쪽)이 17일 오후 인천시 서구 공촌정수사업소를 찾아 인천시 붉은 수돗물 사태 대응상황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2019.06.17 mironj19@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 시장은 17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모든 상황을 대비한 철저한 위기대응 매뉴얼을 준비해 놓지 못한 점과 초기 전문가 자문과 종합대응 프로세스가 없었던 점, 시장인 제가 다시 한 번 사과 드린다”고 밝혔다.

이날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서구와 영종 지역에만 적수 신고가 1만5621건(16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같은 지역의 수질 검사 요청은 1080건, 피해 보상 요구도 5122건에 이른다.

각급 학교도 직격탄을 맞았다. 교육부에 따르면 인천 서구‧영종도‧강화도에 있는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195곳 가운데 149곳(14일 기준)이 붉은 수돗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지난달 30일 수질 피해가 발생한 이후부터 종료할 때까지 영수증 등 사실 확인이 된 경우 필터교체비와 생수구입비, 진료비 등을 실비로 지원하기로 했다. 또 실태 조사를 거쳐 저수조 청소비 등도 실비 지원할 예정이다.

비용이 최소 ‘수십억대’로 추산되면서 인천시가 사태 초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막대한 혈세가 투입 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인천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초기 대응이 미흡한 부분과 관련해선 인천시가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돼 있는지 전체적으로 점검이 필요하다”며 “또 박 시장이 전면에 나서서 빨리 대책을 마련했으면 시민들의 신뢰도가 높아지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선 사태를 수습할 수 있는 긴급 대책을 취하는 게 급선무”라고 덧붙였다.

한편 환경부 주관으로 구성된 정부 원인조사단은 오는 18일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 예정이다.

kmkim@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