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후 한 아파트 단지 앞에서 한 어르신이 급수차를 이용해 손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
서울 문래동과 인천 일대의 ‘탁한 수돗물’ 사태로 수돗물 안전에 비상이 걸리자 서울시가 노후 수도관 교체 사업을 예정보다 2년 앞당겨 완료하기로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총 사업비는 1789억원이다. 문래동 일대 수돗물 식수 사용제한 권고는 당분간 유지된다.
서울시는 당초 2022년까지 서울 시내에 남은 노후 수도관 138㎞를 새로 바꿀 계획이었다. 시는 1984년을 기점으로 노후 상수도관 교체 사업을 시행해 지난해까지 98.7%를 새 수도관으로 바꿨다. 전체 수도관 1만3571㎞ 중 1만3396㎞에 해당한다. 나머지 175㎞의 수도관 중 재개발·재건축 지역에 묻힌 37㎞를 제외한 138㎞는 2022년까지 교체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수돗물 안전에 대한 불신 여론이 커짐에 따라 남은 수도관도 내년까지 전면 교체에 들어가기로 결정했다. 자치구별 노후 상수도관 현황을 보면 서울 영등포구가 13.9㎞로 가장 길다. 이어 강남구 11.9㎞, 중구 11.1㎞, 동대문구 10.9㎞, 성북구 10.1㎞, 구로구 8.8㎞, 송파구 8.7㎞ 순이다. 반면 강서구는 0.6㎞, 용산구는 1.5㎞, 중랑·양천구는 1.6㎞만이 노후관으로 자치구별로 23배까지 차이 난다.
‘탁한 수돗물’의 원인일 수 있는 문래동 일대 1.75㎞ 길이 수도관의 경우 예비비를 사용해 올해 안에 교체한다. 이 지역 수도관은 매설 46년째로 당초 내년 교체 대상이었다. 문래동 일대에서 2016년 도로 아스팔트 교체 공사를 한 적이 있어 3년 안에 다시 도로를 굴착할 수 없다는 규정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2016년 당시 아스팔트 교체와 수도관 매설을 동시에 진행하지 못한 데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굴착 작업이 순서를 기다려 한꺼번에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그때 그때 긴급한 수요를 따라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고, 한정된 재원으로 우선 순위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다 보니 현실적으로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도로 굴착에 대해서도 원칙과 기준, 긴급한 수요에 대한 대처 등 다시 한번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외에 가스 회사, 한국전력, 통신회사 등 여러 기관이 도로 굴착에 관여하는 것도 ‘비효율적 땅파기’의 원인이다.
21일 오후 붉은 수돗물이 나온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아파트단지에서 긴급 생수가 지원된고 있다. 뉴시스 |
문래동 5개 아파트 단지에 내려진 식수 사용제한 권고는 당분간 유지된다. 서울시는 지난 19일 ‘붉은 수돗물’ 민원이 제기된 후 아파트 저수조 물빼기와 청소 작업을 거쳐 수돗물을 다시 공급하면서 수질을 측정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문래동 수돗물 탁도는 공급이 재개된 지난 21일부터 24일 오전까지 기준치 이내인 0.5 NTU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간헐적으로 탁도 기준치를 넘었다가 정상화되는 현상도 나타나는 상황이다.
서울시 김의승 대변인은 “성급하게 식수 제한을 해제하기보다 시민 안전이 우선이라 판단했다”며 “해당 지역의 수질이 안정됐다는 판정 이외에도 시민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도록 심리적 안정을 달성하는 방안까지 마련해 조속한 시일내에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문래동 소식이 알려진 뒤 각 수도사업소로 불안감을 호소하는 시민 신고가 접수됐다”며 “이와 관련해 수질검사를 하고 있으나 이상 상황은 보고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