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자기계발서,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기계발서를 여러 권 낸 유명 작가들이 표절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문장을 그대로 사용하는 건 애교 수준입니다. 다른 책의 한 챕터를 그대로 베낀 사례가 발견됐습니다. 주요 개념은 물론, 사례까지 고스란히 가져왔습니다. 출판계에서는 ‘터질 게 터졌다´고 하지 않고, ‘터진 게 또 터졌다´는 분위기입니다. 이런 관행은 오래전부터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최근엔 이른바 ‘책 쓰기 책’이 인기를 끕니다. 책 쓰는 일은 권할 일이고, 이 방법을 알려준다면 고마울 따름입니다. 다만, 오로지 책을 내고자 편법에 가까운 방법만 알려주니 문제입니다. 자기계발서 쓰는 법을 알려준다는 최근 신간을 살펴봅니다. “다른 저자의 책 혹은 신문이나 잡지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콘텐츠와 사례를 확보해야 한다. 그다음은 그것을 베끼고 훔쳐서 나만의 것으로 재가공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런 식의 방법을 알려주는 책의 수준은 어떨까요. 그리고 이런 책의 코칭을 받고 나온 책의 수준 또한 어련할까 싶습니다.

이런 책은 사실 그리 많이 팔리지 않습니다. 제대로 된 독자라면 이런 책은 거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이런 책을 낼까. 강연을 다니기 위해서인 사례가 많습니다. 책을 팔아 버는 돈보다 강연을 하는 게 돈벌이가 되니까요. 책 쓰는 법을 알려주는 책을 내고 강연 다니고, 이런 강연을 듣고 책을 낸 뒤 강연 시장에 뛰어듭니다.

실제로 이번에 덜미를 잡힌 작가들은 청년들에게 ‘인생 멘토’로 불리며 수많은 강연장을 누볐습니다. 이 멘토들은 책을 베끼고도 “출처를 밝히지 않았느냐”고 항변합니다. 이들에겐 ‘책 낸 작가’ 타이틀이 필요합니다. 책은 단지 명함일 뿐입니다. 그래서 내용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겁니다.

눈치 빠른 독자라면 이런 책은 그저 훑어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좋은 이야기는 가득한데, 좋은 사례는 많은데, 정작 알맹이인 저자의 경험이나 연구는 없습니다. 청년들에게 ‘힘내라’고 하지만, 청년들을 위해 저자는 정작 한 일이 별로 없습니다. 함량 미달 책을 읽노라면 정말이지 “한심(寒心)하다”는 말밖에 나오질 않습니다. 날은 더워지는데, 이런 책이 책골남의 마음을 차갑게 만듭니다.

gjkim@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