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국토부서 퇴짜 ‘운천역’… 시비로 짓겠다는 파주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제성 낮다” 신설안 통과 못하자 / “공사비·적자보전금 40억 내겠다” / 시, 김현미 장관 등 만나 설득전 / 일각 “국비 쓸 일에 예산낭비” 비판

경기도 파주시가 국토교통부가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난색을 보인 경의선 운천역 신설사업을 시 예산으로 추진하려 해 논란이 일고 있다. 보통 철도역사 신설은 국비 등을 확보해 추진하는데, 정부가 타당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한 사업을 시 예산으로 급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파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더불어민주당 박정 국회의원과 함께 김현미 국토부 장관, 코레일·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 관계자들을 면담했다. 파주시는 이 자리에서 올해 말로 예정된 ‘문산∼임진강역 전철화 사업’ 완공 전에 운천역사 건립이 필요한 만큼 역사 건립 사업비와 영업손실 보전금을 시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국토부에 사업 추진을 요청했다.

세계일보

2004년 간이역으로 설치된 파주시 운천역. 현재 경의선 DMZ(용산∼도라산) 평화열차가 매주 수요일∼일요일 하루 1차례 왕복 운행되면서 운천역에는 양쪽으로 각 1회 정차한다. 파주시 제공


국토부 등에서는 운천역에 대해 경제성 분석에서 사업 타당성이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건립이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파주시가 시 예산 40여억원을 들여 역사 건립 공사비와 영업손실 보전금 등을 부담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파주시와 박 의원은 또 국지도 78호선 문산 선유리 구간 확장과 관련해 파주시가 공사비를 분담하는 조건으로 사업 승인을 요청했다. 이 사업에 드는 비용은 공사비 36억원, 보상비 200억원으로 추산된다. 당초 파주시와 경기도는 공사비의 70%를 국비로, 나머지 30%와 보상비는 경기도 예산으로 분담하는 조건으로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 사이에서는 “지역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한 대표선수로 활동하라고 시민들이 표를 줬지, 혈세를 마음껏 쓰라고 투표를 한 것이 아니다”라며 “사업성이 낮으면 정부를 설득해 관련 예산을 확보하는 게 당연한 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안명규 파주시의회 부의장(자유한국당)은 “지역 현안과 관련해 국회의원과 시장이 국비 등을 확보하는 게 당연한 일”이라며 “2014년부터 문산역∼임진강역 구간의 전철화 사업이 시작됐는데 지금 와서 혈세를 긴급 투입해 사업을 한다면 시민들이 과연 이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파주=송동근 기자 sd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