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포스코, 잇단 안전사고… 취임 1주년 앞둔 시험대 오른 최정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김수현 기자 =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안전문제로 시험대에 올랐다. 최근 포스코 사업장에서 잇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면서 노조와 정치권이 근본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촉구하고 나서는 등 취임 1주년을 앞두고 예상치 못한 비판에 직면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대표교섭단체인 한국노총 포스코노동조합과 정의당 경북도당은 각각 최근 잇따른 포스코 산재와 관련해 지난 18일 성명을 내고 경영진의 안전에 대한 무사안일에 대한 책임을 지적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포스코 노조는 “포스코에서 지난해 5명, 올해 4명의 노동자가 사망했고, 이는 노조의 지속적인 안전에 대한 투자와 예방대책을 요구에도 회사가 묵살한 결과”라며 “포스코 노동자를 더는 죽음으로 내몰지 말고 최정우 회장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정의당 경북도당도 “경영진이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얘기하는 재발 방지와 제도 개선은 공염불이 되고 있다”며 “의지도 없고 능력도 없는 경영진이라면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재사망 사고는 징벌적 배상을 하고 원청 대표에게 형사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을 개정하도록 정부와 국회에 촉구한다”고 실질적인 안전대책을 촉구했다.

지난 11일 포스코 포항재철소 3코크스 공장에서는 기계 설비를 점검하던 노동자(60)가 기계에 끼였다가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올해 포항제철소에서 숨진 노동자만 3명에 달한다. 지난 15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청소 작업을 하던 하청업체 직원(34)이 10m 아래로 추락, 17일에는 2파이넥스 성형탄공장에서 협력업체 직원(62)이 난간 작업 설치 중 5m 아래로 추락해 부상을 당했다.

산재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사측의 비용 절감 정책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현장 점검에 대한 2인 1조 작업이 없어지면서 발생한 안전사고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청을 통한 위험의 외주화와 포스코 경영진의 고질적인 안전 불감증도 지적했다.

특히 위험의 외주화로 인해 중대재해를 당한 노동자는 대부분 하청업체 직원들로 지난해 포스코 작업장에서 사망한 5명 모두 하청노동자들이다. 지난달 광양제철소 포스넵 공장에서 폭발사고로 숨진 노동자와 이달 발생한 추락사고 부상자들도 하청업체 소속이다.

포스코 안전사고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오는 27일 취임 1주년을 앞둔 최 회장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최 회장이 취임 직후부터 안전을 포스코의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고 안전경영 목소리를 높여온 것이 무색해지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최 회장은 지난해 10월 ‘안전다짐대회’에서 “안전은 그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최고의 가치”라고 밝혔고, 올해 신년사에서도 “생산현장에서는 안전이 회사가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라고 강조해 왔다.

포스코는 지난해 5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기존 5453억원의 예산에 5597억원을 증액해 두 배 이상 늘려 향후 3년간 총 1조1050억원을 안전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지난해 1월 포항제철소 내 산소공장에서 질소가스 누출 사고로 하청노동자 4명이 사망하자 점검, 조사를 진행한 이후 후속조치로 안전 종합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안전업무 컨트롤타워 조직인 ‘안전전략사무국’을 신설하고, 외부전문가를 임원급인 안전전략사무국장으로 영입했다. 하지만 이는 실제 노동현장과는 무관해 근본적인 개선책이 아니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높은 곳에서 작업 시 추락방지를 위해 이중 안전고리가 달린 안전벨트 적용 등의 대책을 마련했지만 이달에만 추락사고 3건이 발생하며 확실한 재방방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사고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고 계속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며 “사외 안전전문기관과 합동팀을 구성해 제철소 모든 공장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