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순천향대 권휘웅 교수, 수소충전소 최적의 생산 전략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순천향대 나노화학공학과 권휘웅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신학 기자 = 순천향대 권휘웅 나노화학공학과 교수가 AI 기술을 이용해 미래 수소수요를 예측하고 예측된 수소 수요에 기반해 On-site 수소충전소에서의 최적의 수소생산 전략기술을 개발했다.

17일 순천향대에 따르면 권 교수 연구팀은 동국대 박진우 교수 연구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신재은 박사 및 동아대 구본찬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래 최적 수소생산비용과 CO2 저감을 위해 수소 생산 공정에 적용한 공정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Dual Modal Mode 측면에서 다양한 수소 생산 공정 조합을 분석하여 최적의 공정과정을 도출했다.

SMR(증기 메탄 개질), ATR(자열 개질) 공정 최적화를 기반으로 다른 수소 생산 공정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장 공급 방식으로 충전소 자체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On-site 방식의 수소 공정 효율을 향상시켜 경제성 및 환경성을 확보했다.

아울러,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수소 생산 공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들도 도출했다.

권휘웅 교수는 "수소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소 생산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로 수소사회로의 진입을 앞당기면서 수소 활용이 현재보다 대중화되는 시점에서, On-site 수소충전소 설치 시 수소충전소를 운영하는 결정권자 또는 정부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Optimal Investment Strategy Analysis of On-Site Hydrogen Production Based on the Hydrogen Demand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이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IF: 4.6, 2022년 JCR 기준 상위 1,5%)에 게재됐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