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ET투자뉴스]SK바이오랜_주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관련종목들 가운데서 변동폭은 높지만 수익률은 작아

22일 오전 9시35분 현재 전일대비 1.33% 오른 15,200원을 기록하고 있는 SK바이오랜드는 지난 1개월간 8.16%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에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1.4%를 기록했다. 이는 화학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SK바이오랜드의 월간 변동성이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주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주가등락률 또한 가장 낮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된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SK바이오랜드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5.8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가장 낮았지만 주가가 하락했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가장 저조한 수준을 나타냈다. 게다가 화학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1.4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좋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SK바이오랜드가 속해 있는 화학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과 등락률이 모두 높은 모습이다. 업종등락률이 마이너스지만 시장보다는 탄력이 있고, 흐름도 좋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펌텍코리아 5.0% %
나노신소재 3.4% -3.2% -0.9
와이엠티 3.3% 10.2% 3.0
동성화인텍 1.9% -7.1% -3.7
SK바이오랜드 1.4% -8.2% -5.8
코스닥 1.1% -6.6% -6.0
화학 1.2% -1.6% -1.4


관련종목들 혼조세, 화학업종 +0.01%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나 화학업종은 0.01% 상승중이다.
동성화인텍

8,980원

▲250(+2.86%)
와이엠티

27,500원

▼300(-1.08%)
펌텍코리아

142,200원

▲400(+0.28%)
나노신소재

19,400원

▼50(-0.26%)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전자신문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23%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SK바이오랜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23%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83.77%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11.44%를 보였으며 기관은 4.21%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86.61%로 가장 높았고, 외국인이 11.13%로 그 뒤를 이었다. 기관은 1.16%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전자신문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와 투자심리는 약세, 거래량은 침체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적으로나마 반등이 나올 수 있지만 추세하락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주가 근처인 15,350원대에 주요매물대가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대 근방에 15,35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15,350원대는 전체 거래의 22.4%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지금부터 주가가 어느 한방향으로 방향을 잡으면 강한 추세적 지지 또는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18,7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15,35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1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가깝게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15,350원대의 저항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포인트검색]
SK바이오랜드(주) 임시주주총회결과

7월16일 :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