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2 (수)

3조5000억원 규모 국가신약개발사업…“초기 유효물질 확보에 집중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의약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이 오는 2021년부터 10년간 운영을 목표로 하는 국가신약개발사업의 초점을 초기단계 유효물질 확보에 맞춰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높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가신약개발연구사업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하고 병원, 연구소, 기업, 환자 등 각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의견을 수렴했다.

조선비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가 22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국가신약개발연구사업 대국민 공청회를 열었다. /김태환 기자



패널로 초청된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은 "2011년 시작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2020년 9월 8일 막을 내린다"며 "신약지원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는 초기 신약후보물질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뼈저리게 느꼈다"고 말했다.

오는 2021년 추진되는 국가신약개발연구사업은 과기정통부, 복지부, 산자부 3개 부처를 합쳐 연간 총 1300억원 규모의 여러 신약개발 지원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국내 신약개발연구와 기술 연계 등을 통합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기간만 2021년부터 총 10년으로 총 3조5000억원의 연구개발 자금이 소요된다. 연 평균 연구개발 지원금액은 3500억원 수준으로 유효물질 발굴부터 임상2상까지 원스톱 방식으로 신약개발 전주기를 지원한다.

사업은 아직 계획 단계다. 오는 8월 6일까지 계획안 수립이 확정될 예정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야 한다. 다만, 이 타당성 통과를 위해서는 민간 투자와의 중복성을 피하고 정부 자금 지원의 필요성을 입증해야 한다.

국내 제약업계를 대표하는 기업, 학계 및 연구소 관계자들은 정부 지원이 초기 신약후보물질 확보에 집중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우리나라는 신약이 탄생하는 과정 중 가장 원초적인 단계인 유효물질 탐색에서부터 후보물질 도출까지 초기 단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의견이다.

실제 2017년 국내 제약기업의 임상 단계별 신약 파이프라인을 살펴보면 후보물질 탐색은 247건으로 다음 단계인 전임상시험 323건에 못미친다.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확보한 후보물질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전임상시험에서 독성 평가, 분자 크기 등으로 인해 실제 임상에 갈 수 있는 약물이 줄어든다는 점을 감안하면 378건의 후보물질이 이미 부족한 상태다. 국내 신약개발 연구를 지속하려면 씨앗이 되는 후보가 다량 확보돼야 한다는 논리다.

오두병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본부장은 "우리는 기초 체력을 높일 수 있는 신약개발 확충 연구가 부재하다"며 "초기 유효물질부터 후보물질까지 지속 안정적 투자가 필요하고, 기업의 유경험자가 자문역으로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를 연계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후보물질 도출 과정이 연구분야로 전임상·임상시험은 상업화 분야로 나눠져 있는 것이 신약 개발에 장애가 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 대표는 "상업화 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초기 연구과정부터 참여하면 실패할 확률을 줄일 수 있지 않겠냐"고 했다.

묵현상 단장은 "제약회사들은 임상시험에 들어가서야 약물이 나왔다고 생각하지만, 대학이나 연구소에서는 임상시험까지 끌고 갈 자금도 여유도 없다"며 "우리나라 신약개발 지원 계획에 초기 단계에서 전략적으로 기업과 연구소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태환 기자(tope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