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팔다리 근육량 줄어든 남성, 당뇨병 발병 위험 2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 김홍규 교수가 내원자에게 당뇨병 예방을 위한 팔다리 근육 강화 운동법을 설명하고 있다.


20∼60대 청장년층의 팔다리 근육량이 줄어들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 김홍규 교수팀(내분비내과 전공)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이 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20~69세(평균 47세) 성인 1만7280명을 평균 5.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팔다리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당뇨병 발병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그동안 근육량 감소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주로 노인을 대상이었으나, 이번 연구는 비교적 젊은 청장년층의 근육량 감소와 당뇨병 발병 사이의 연관성을 입증함으로써 꾸준한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는 게 김 교수팀의 설명이다.

팔다리 근육은 탄수화물에서 소화된 포도당을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근육량이 줄어들면 그만큼 포도당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해진다. 결국 남겨진 포도당이 혈중당 수치를 높여 당뇨병 발병에 기여하게 된다.

김 교수팀은 비교적 젊고 건강한 청장년층의 팔다리 근육량과 당뇨병 발병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20~69세 성인으로 구성했다. 이미 진단된 당뇨병 환자뿐 아니라 팔다리 근육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암, 신장질환, 갑상선기능 이상 등을 과거에 앓았거나 앓고 있는 환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했다.

연구 대상자를 첫 검진 때 측정한 팔다리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기준으로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모두 적은 그룹 △근육량은 많고 체지방량이 적은 그룹 △근육량은 적고 체지방량이 많은 그룹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모두 많은 그룹으로 나누었다. 김 교수팀은 네 그룹 가운데 가장 좋은 체성분 구성을 보인 ‘근육량은 많고 체지방량이 적은 그룹’을 기준으로 5~6년이 지난 후의 당뇨병 발생률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근육량은 많고 체지방량이 적은’ 그룹에 속했던 남성 가운데 34%는 5~6년이 지나서도 원래 체성분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나머지 66%는 근육량 및 체지방량 변화로 체형이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과 건강한 식이요법 없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이상적인 체형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방증한다. ‘근육량은 많고 체지방량이 적은’ 그룹에 잔류한 남성은 주 3회 이상 운동을 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60.6%로, 체형 변화를 보인 다른 남성들에 비해 높았다. 당뇨병 발생률은 2.2%로 가장 낮았다.

반면 팔다리 근육량이 줄어든 남성은 유지 그룹보다 2.2배 높은 4.8%의 당뇨병 발생률을 보였다. 체지방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팔다리 근육량이 줄어들자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진 것이다. 한편 근육량이 유지되어도 체지방량이 증가한 남성에선 3.6%가 당뇨병이 발병했다. 근육량은 줄고 체지방량은 늘어난 남성은 5.7%라는 가장 높은 당뇨병 발생률을 보였다.

김 교수는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도 근육량이 줄어들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당뇨병 발병 위험을 낮추려면 자신의 체성분과 사지 근육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에 맞는 음식 섭취와 운동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청장년기 때부터 유산소운동과 함께 팔다리 근육량을 키울 수 있는 운동을 평소 꾸준히 한다면 노년기 건강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박태해 선임기자 pth122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