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건보재정 국고비중 3년새 '13%→11%'…국민은 5.3조 부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국고지원 확대' 토론회

"누적적립금 쓰되 적정규모 국고지원 명확히 해야"

뉴시스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심평원 서울사무소 별관 중회의실에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가입자단체 대표 위원들이 건정심 본회의에서 보험료 인상 의결 관련 가입자단체 공동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이들은 기획재정부에 건강보험 관련 국가 책임 이행 차원에서 미지급 국가지원금 지급 및 보건복지부, 심평원, 건보공단에 환산지수 및 비급여 통제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왼쪽부터 이주호 민주노총 정책실장, 한영수 한국노총 의료노련 사무처장, 나순자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2019.06.28. 20hwan@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전체 건강보험 재정 수입에서 국가가 지원하는 비중이 최근 3년 사이 13%대에서 11%대로 줄어든 반면, 국민이 낸 보험료 비중은 86%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건강보험 보장성을 확대하면서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려면 20조원이 넘는 누적적립금을 우선 사용하되, 보험료 인상과 함께 적정 규모의 국고지원 법 규정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국고지원 확대를 위한 토론회'에서 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이 같이 제안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건강보험재정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국고지원금의 비중은 2010년 14.3%에서 2013년 12.3%까지 낮아졌다가 2015년 13.3%로 높아진 이후 2016년부터 지난해(잠정치)까지 3년 연속 12.6%, 11.7%, 11.4% 등으로 낮아졌다. 이 기간 국고지원금은 7092억원, 6775억원, 7071억원이었다.

반대로 매월 국민이 낸 보험료 비중은 지난해(잠정치) 86.4%(5조3642억원)에 달했다. 2014년 82.3%(4조1594억원)에서 2015년 83.2%(4조4330억원), 2016년 84.3%(4조7593억원), 2017년 86.2%(5조417억원)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정부는 2017년 8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인 이른바 '문재인 케어'를 발표하고 2007년 65.0%에서 2017년 62.7%까지 떨어진 보장률을 임기 내인 2022년까지 70%로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관건은 이를 위한 재정이다.

지난 5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 심의를 거쳐 확정된 '제1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2019~2023년)'에서 건강보험 당국은 2023년까지 5년간 41조5842억원을 투입하기로 하면서 재정 운영 목표를 세웠다. 보험료율 연평균 3.2% 수준에서 관리, 2023년 이후 누적 적립금 10조원 이상 유지, 정부지원 비율 확대 등이 큰 틀이다.

좀더 구체적인 재정 전망치를 보면 보험료율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3.49%, 2023년부터 3.2%씩 전년보다 인상하고 수가인상률을 올해부터 2.37%로 적용하는데 정작 보험료 수입 대비 정부지원 비율은 13.6%로 고정했다.

여기서 말하는 정부지원 비율이란 건강보험법과 건강증진법 등에 따라 해당연도 건강보험료 예상수입액의 20%(국고 14%, 건강증진기금 6%)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다.

이 과정에서 2017년 말 20조원이 넘는 누적 적립금을 활용한다지만 보험료 인상으로 부담을 지는 국민과 달리 정부의 추가 부담 의지엔 의문 부호가 달릴 수밖에 없다.

실제 노동계와 사용자, 환자 등 건강보험 가입자 단체 대표들이 지난달 28일 내년도 건강보험료율을 결정하는 건정심을 앞두고 국고지원 약속 없는 보험료율 인상에 반대 뜻을 밝힌 바 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도 최근 기자들과 만나 "국고 보전이 미약한데 건강보험료 인상만 강조하면 형평에 안 맞다고 주장하는 것 같다"며 국고지원 비율 14% 달성을 위해 올해보다 관련 예산 1조원 추가 확보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교수는 "건강보험제도를 기본으로 하는 국가에서는 정부가 일정부분을 국고·예산으로 지원하는 것이 관행"이라며 "보험료만으로는 전체 국민의 건강보장을 위한 재원이 충당될 수 없는 현실 여건이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임금 노동자들은 비임금 노동자의 낮은 소득파악률을 이유로, 경영자 들은 고용비용의 증가를 이유로 보험료 인상보다는 국고지원을 선호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보장성 강화를 위해 누적적립금으로 초기 비용을 사용하고 보험료율을 인상하거나 국고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적정 규모로 국고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지원 규모를 '과거 3년 평균·전전년도의 보험료 수입·보험자부담분의 100분의 14를 국고에서, 100분의 6을 국민건강증진기금에서 지원한다'는 식으로 명확히 하거나 '국민건강증진기금에서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 차액을 국고에서 공단에 지원한다'는 규정을 분명히 할 것을 제시했다.

limj@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