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기혼남녀, 미혼보다 기대 수명 낮다 [연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국내 연구진이 미혼자와 기혼자의 기대 수명을 비교·분석한 결과 기혼자의 기대수명이 미혼인 이들보다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이지혜·심진아·윤영호 연구팀은 전국 성인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연령, 수입, 결혼 여부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등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조사하고 이들 요인과 이상적 기대수명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결혼 했거나 수입이 적은 경우 본인이 생각하는 적정 수명인 ‘기대수명’이 미혼이거나 수입이 많을 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소득의 경우 월 200만원 이상인 사람은 200만원 미만인 사람에 비해 기대수명이 약 1.48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미혼인 경우 결혼한 사람에 비해 기대수명이 약 1.4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으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일을 적절히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적 건강’ 정도에 따라서도 기대수명이 달라졌다.

사회적 건강 상태를 ‘최고로 좋다’, ‘아주 좋다’, ‘좋다’, ‘조금 나쁘다’, ‘나쁘다’ 5개 그룹으로 구분해 기대수명을 비교한 결과 ‘최고’, ‘아주 좋음’이라고 답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기대수명이 약 1.39배 높았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저소득층과 기혼자가 이상적 기대수명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며 “소득이 낮은 기혼집단을 위한 사회적 제도와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회지 ‘아시안간호리서치(Asian Nursing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사진=현대자동차 그룹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