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폼페이오, 열흘새 '안전보장' 두 번 언급 "김정은 약속 완수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측 안도할 안전보장 세트 준비 중" 재차 강조

"북한은 김정은이 약속한 것 완수해야만해" 압박

실무협상 차일피일 미뤄지자 간접적 불만 표시

중앙일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미 간 실무협상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북측에 대한 ‘안전보장 조치(security arrangements)’를 재차 언급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22일(현지시간) 라디오 매체인 아이하트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실무단계 협상이 몇주 내에 열리기를 희망한다”면서 “우리는 북측이 안도감을 느낄 만한 일련의 안전보장 조치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들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한다면”이란 전제를 달았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미국은 핵이 부재한다는 전제 하에 그들을 공격(attack)하지 않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앞서 12일(현지시간) 또다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도 “우리는 그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 보장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한 적이 있다. 이어 "우리는 북한 주민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해야 한다"고도 했다. 북측에 대한 체제 안전문제를 폼페이오 장관이 열흘 만에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올해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안전보장'과 '밝은 미래'는 미국 측이 거론하는 비핵화 상응조치의 두 축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앞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도 6월 애틀란틱카운슬·동아시아재단 전략대화에서 “체제 안전보장(security guarantees) 속에서 비핵화가 진행돼야 한다는 북한의 관점을 이해한다”고 발언했다. 이에 따라 북측도 미국이 완고하게 버티는 경제제재보다는 체제 안전보장 요구로 옮겨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용호 북한 외무상도 하노이 회담이 결렬된 2월 28일 밤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비핵화 조치 취해나가는 데서 보다 중요한 문제는 안전담보 문제”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한편 실무협상이 차일피일 미뤄지며 폼페이오의 어조는 점점 강해지고 있다. 22일 인터뷰에서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은 해야만 한다(have to)”는 표현을 여러 차례 썼다. “김정은 위원장이 약속한 것을 완수해야 한다” “그것(핵)을 끝낼 준비가 됐다는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면서다. “김 위원장은 최소 6번 이상 개인적으로 나에게 말을 했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개적인 문서로 비핵화를 하겠다고 약속했다”는 말도 재차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입으로 한 약속을 지키라"는 압박인 동시에 내심 불만이 묻어나는 어조다.

북·미 대화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북측은 판문점 회동 이후 미국과 연락을 지속하면서도, 정작 실무협상 날짜와 장소 등 구체적인 사항은 확답을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했던 "(판문점 회동으로부터)2~3주 내 실무협상 재개"는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 외교부 안팎에선 "북측이 곧 실무협상에 응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지만, 일정이 계속 지연되는데 대한 답답함을 폼페이오 장관이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