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美, 10년 7개월 만에 금리 인하…글로벌 경기 둔화 전망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금리, 2008년 이후 첫 인하…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파월 "장기 인하 사이클은 아니다" 선긋기…뉴욕증시 급락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1일(현지 시각) 이틀간 진행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낮춘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된 직후인 2008년 12월 이후로 10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현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2.50%다.

조선일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2019년 7월 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끝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성명에서 "낮은 실업률, 견조한 고용, 가계지출 회복 등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 전망 때문에 금리를 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노동시장 성장 신호가 강력하지만 글로벌 성장이 둔화할 우려가 있고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에 장기간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날 금리인하는 만장일치로 결정난 게 아니다. FOMC에서 투표권을 가진 10명의 위원 가운데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총재 등 이른바 '매파'(통화긴축주의자) 2명이 금리동결을 주장하며 금리 인하에 끝까지 반대했다.

연준은 또 일종의 양적긴축 정책인 ‘보유자산 축소’ 프로그램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8월 중 종료키로 했다. 앞서 연준은 보유자산 축소를 9월말까지 끝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보유자산 축소란 중앙은행이 채권 등 보유 자산을 매각함으로써 시중의 자금을 회수하는 통화긴축 정책을 말한다.

금리 인하로 시장에 유동성이 늘어나면 미국 달러화의 가치는 하락하게 된다. 달러 약세는 미국의 수출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금리인하에 따라 관망 중이던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도 조만간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 발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금리인하는 중간 사이클의 조정(mid-cycle adjustment)"이라며 "일련의 장기적인 금리 인하의 시작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오늘 기준 금리 인하 조치는 과거처럼 기준금리 인하 기조의 시작과는 다르다"며 "앞으로 나오는 데이터를 검토하고, 앞으로 글로벌 경제 최대 리스크로 지적되는 미·중 무역전쟁 등의 진전 상황을 보면서 인하 기조를 유지할 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장기 금리인하 사이클은 심각한 경제 침체 가능성이 있을 때 시작된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미국 경제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며 경제 상황이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일축했다. 장기적 경제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장기연방기금금리는 2.50%를 유지했다.

뉴욕증시는 급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33.75포인트(1.23%) 떨어진 2만6864.27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S&P 500 지수는 32.80포인트(1.09%) 내린 2980.38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98.19포인트(1.19%) 하락한 8175.42에 마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많은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폭이 더 크지 않은 것에 실망했고, 파월 의장이 앞으로 더 많은 인하를 할 것이라는 확신을 주지 않아 증권시장이 하락 마감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WSJ 등 외신은 증권시장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연준이 올해 2~3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장기간의 무역분쟁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가능성, 중국의 약세, 유럽의 경기 후퇴 위험 등 미국까지 영향을 미칠 세계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시장이 파월 의장과 연준에서 듣고 싶었던 말은 중국과 EU, 그리고 다른 국가들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장기적이고 공격적인 금리 인하 사이클을 시작한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늘 그렇듯이 파월은 우리의 기대를 저버렸다"고 공격했다.

[전효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