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2 (일)

8ㆍ15 준비 여념 없는 청와대, 많은 변수에 '미래' 방점찍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청와대가 광복절 준비에 한창 이다. 사진은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식에서 독립유공자 고 손용우 선생에 대한 건국훈장 애족장을 배우자 김경희씨에게 수여하는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8·15주간이다. 구한말과 지금을 등치시키는 이들이 넘쳐난다. 남북과 한·일, 한·미 관계는 전례 없는 양상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이후 트집 잡는 중국, 주말새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을 다시 넘나드는 러시아까지, 미증유의 동북아 안보 환경이 펼쳐지고 있다.

어느 때보다 나라 안팎을 향해 발신하는 메시지가 중요한 8·15가 목전이다. 청와대도 이번 주 8·15를 국정의 중심에 두고 있다. 지난 주말 장관급 10자리의 후보자를 임명하는 개각을 마친 터라 8·15 준비에 ‘다걸기’할 환경도 조성돼있다. 15일 전까지 문재인 대통령의 공식 일정은 통상적으로 해온 12일 수석·보좌관 회의와 13일 국무회의, 독립유공자 및 유족 초청 오찬 정도다. 광복절 전날인 14일은 통째로 비워둔 채 행사 준비에만 집중할 예정이다.

청와대 얘기를 종합하면, 기념식 장소 선정이나 주요 식순 등 광복절 행사의 ‘하드웨어’라 할 만한 부분에 대한 준비는 거의 끝낸 상태다. 특히 신경을 많이 쓴 건 기념식 장소라고 한다. ‘장소=메시지’라는 의미에서다. 지난해 제73주년 광복절 기념식은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렸는데, 문 대통령은 “오늘 광복절을 기념하기 위해 우리가 함께 하고 있는 이곳은 114년 만에 국민의 품으로 돌아와 비로소 온전히 우리 땅이 된 서울의 심장부 용산”이라고 규정했다. 이번에도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장소에서 기념식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하드웨어도 중요하지만 소프트웨어, 즉 문 대통령이 발신할 메시지가 광복절 기념식의 핵심이다. 통상 광복절 기념 연설문은 정무수석실을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각계의 여론을 담아 초안을 마련한다. 현재 초안 성안(成案)은 마친 상태지만 행사 직전까지 끊임없는 퇴고 작업이 진행된다. 참모들의 전언에 따르면 결국 문 대통령이 직접 마침표를 찍어야 연설문 작업이 끝이 난다. “역대 어느 대통령보다 완벽한 연설을 추구한다”고 전했다.

핵심은 대일(對日)·대북(對北) 메시지다. 비록 일본이 수출 제한 품목 중 일부를 허가하는 등 한·일 갈등의 절정기는 지났다지만, 여권은 “일본이 한국의 경쟁력을 낮추고, 동북아 판을 흔들려는 의도”라는 시각이다.

공교롭게도 15일은 일본의 화이트 국가(안보우호국) 배제를 결정한 날(2일)과 배제를 시행하는 날(28일) 사이, 한가운데 있는 날이다. 이 때문에 극일(克日) 메시지가 담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다시는 일본에 지지 않겠다” 같은 직접적인 표현 대신 일본강점기를 딛고 일어선 국민의 저력과 한국이란 국가의 품격을 강조하며 ‘내일’을 강조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그간 광복절의 대북 메시지는 희망찼었다. 1·2차 남북 정상회담 직후, 3차 남북 정상회담 직전이었던 지난해 광복절 기념식 때는 ‘평화 경제’를 통해 장밋빛 미래를 언급했다. 하지만 최근 기류는 다르다.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도발과 북·미 간 노골적인 '통미봉남(通美封南·한국을 배제한 채 미국과 협상)''통북봉남(通北封南)' 발언이 이어지는 중에 지난해와 닮은 메시지를 내기는 어렵다는데 청와대의 고민이 담겨 있다.

북한이 반발하는 한·미 연합지휘소 훈련이 20일까지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자칫 문 대통령의 평화 경제 언급 직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있었던 5·6일의 모습이 되풀이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극일의 한 방편으로 평화 경제를 언급했던 5일과 달리 ‘조속한 북·미 대화 촉구 → 비핵화 후의 한반도 → 동북아 평화의 주역’으로 이어지는 미래 청사진을 강조할 가능성이 있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