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기본계획 시안’을 발표했다. 2021년 진단은 대학이 입학 경쟁률 등 대학별 여건을 고려해 자체적으로 적정 정원을 책정하고 그에 맞게 학생을 줄이는 ‘셀프 다이어트’ 방식이다. 교육부는 진단 지표 중 신입생과 재학생의 충원율 비중을 2018년의 13.3%(75점 만점 중 10점)에서 20%(100점 만점 중 20점)로 확대해 대학이 스스로 학생 충원율을 높이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또 ‘유지 충원율’ 개념을 도입해 진단 결과에 따라 일반 재정지원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들은 재학생 충원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족해야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각 대학이 자체 혁신을 통해 재학생들의 중도 이탈을 막도록 하는 장치다. 전임교원 확보율의 비중도 13.3%(10점)에서 15%(15점)로 늘려 교육의 질 제고도 유도한다.
정원 감축을 원하지 않는 대학은 기본역량진단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정부 재정지원 사업에 지원할 수 없게 된다. 재정지원이 절실한 대학들은 진단에 참여할 수밖에 없어 자율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류장수(부경대 교수) 대학구조개혁위원장은 “학생 충원율은 시장에서 그 대학의 상황을 보여 주는 지표”라면서 “정부의 기능과 함께 시장의 기능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2021년 진단이 지방대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는 지적에 따라 지방대를 배려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일반 재정지원 대상 대학을 선정할 때 전체의 90%를 5개 권역 기준으로 뽑아 대학들이 전국이 아닌 각 권역 내에서 경쟁하게 된다. 나머지 10%만 전국 단위에서 뽑는다. 또 학생 충원율과 전임교원 확보율, 취업률 등 핵심 지표의 만점 기준을 권역별로 달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류 위원장은 “역량 있는 지방대가 선정되고 정원을 못 채우는 수도권 대학이 탈락할 확률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