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로 74주년을 맞는 광복절은 건설업계에 있어서도 그 의미가 크다. 대한민국의 건설 산업은 1945년 광복과 함께 시작됐기 때문이다. 현재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 전문건설협회, 대한시설물유지관리협회 등에 따르면 종합건설업체를 비롯한 국내 건설사는 지난 7월22일 기준 6만8781개에 달한다.
광복 직후 국내 건설업체는 61개에 불과했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전후 복구사업 과정에서 미 군정청의 공사 발주가 늘면서 차츰 규모를 갖춘 건설사들이 탄생했다. 현대건설, 대림산업, 동아건설, 삼부토건, 극동건설, 삼환기업 등이 이 때 생겨났다.
1960년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본격화되면서 각종 개발 사업이 이뤄졌다. 이를 수행할 건설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건설업법(1958년)도 도입됐다. 1960년대 후반에는 월남전 특수를 계기로 해외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건설사들이 생겨났다.
1970년대는 연평균 10.8%가 넘는 건설투자가 이뤄졌다.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기간(1967∼1971년)에는 사회기반시설(SOC)의 성장률이 무려 12.6%에 달했다. 또 중동을 중심으로 해외진출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는 아파트의 시대가 열렸다. 주택 200만호 건설사업 등 수도권 신도시 개발로 주택업체들이 도약했다. 1975년 9만가구였던 아파트는 2000년 500만가구를 넘어 2010년에는 800만가구를 돌파했다.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가 몰려왔다. 고금리 정책과 금융 경색으로 자금줄이 막힌 동아건설, 대우건설 등이 잇따라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등 구조조정으로 내몰렸다.
외환위기 여파가 잦아들면서 한국경제는 다시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2000년대 중반 주택 건설과 부동산 개발 붐이 일면서 건설업체 주도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개발사업이 확산됐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또 한 번의 시련이 닥쳤다.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침체됐던 국내 부동산경기는 2013년 기준금리 인하, LTV,DTI규제 완화 등 정책에 힘입어 반등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후 정권별 부동산 정책에 따라 건설업계는 호황과 불황을 오고 갔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건설 수주는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인 2014년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2015년 158조원 ▲2016년 164조9000원 ▲2017년 160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현재 문재인 정부 들어 SOC 예산 축소와 주택시장 억제정책까지 나오며 2018년 수주는 154조5000억원으로 줄었다. 여기에 해외시장은 미,중 무역 갈등 등의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이에 건설업계는 최근 안정된 수익원을 찾아 헤매고 있는 중이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쿠키뉴스 안세진 asj0525@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