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서에 담배꽁초까지…'수난의 연속' 소녀상
지난 1월 대구에서 50대 남성이 2.28 공원에 설치된 소녀상 이마에 검정색 매직으로 낙서를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남성은 경찰에서 "길을 지나다 눈에 거슬려 낙서했다"고 진술한 것이 알려지며 국민적 공분을 샀다.
지난달에는 경기 안산 상록수역 광장 소녀상에 침을 뱉고 엉덩이를 흔드는 등 조롱한 20~30대 남성 4명이 적발됐다. 이후 이들은 '나눔의집'을 찾아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사죄하며 용서를 구했지만, 비난 여론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
지난달 충남 홍성 SNS 커뮤니티에도 "소녀상 의자에 앉아 담배 피시던 흰색 위아래 입은 중년 남성분, 소녀상 옆에서 뭐하시는 거냐"며 "양심이 있다면 반성하라"는 글이 올라왔다. 댓글에는 "개념이 없다", "이런 사람이 있는 게 신기하다" 등 일부 시민들의 그릇된 행동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 시민들의 힘으로 세워진 소녀상, 관리는?
평화의 소녀상은 지난 2011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주최하는 수요집회 1000회째를 맞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세워졌다. 현재는 전국에 총 112개가 설치돼있다.
소녀상 대부분이 시민들의 자발적인 힘으로 세워지다 보니 설치 이후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전체 소녀상 중 약 30% 수준인 32개만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공조형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을 뿐이다. 나머지 대다수 소녀상은 일부 그릇된 의식을 가진 시민들의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된 상태다.
더욱이 법적 근거가 마땅치 않은 탓에 소녀상을 모욕한 이들을 처벌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소녀상에 단순히 침을 뱉거나 조롱하는 행위로는 재물손괴죄가 성립하기 어려울뿐더러, 사람이 아닌 동상이기 때문에 친고죄인 모욕죄를 적용하기도 무리가 따른다.
이에 따라 지자체가 소녀상을 공공조형물로 지정해 직접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자체 공공조형물로 등록될 경우 CC(폐쇄회로)TV 설치를 통한 감시, 관련 예산 편성 등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 지원 단체 '마리몬드'는 지난해 1월부터 소녀상 공공조형물 지정을 위한 서명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19만2500여명이 참여하는 등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 국내·외 관심 증대…"소녀상 의미 되새겨야 할 때"
최근 들어 소녀상에 대한 국내·외 관심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일본에서 열리고 있는 국제예술제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에 출품된 평화의 소녀상이 일본 정부와 우익 세력들의 외압으로 전시가 중단됐기 때문이다.
|
일본 시민단체 '한국병합 100년 도카이 행동'이 지난 3월부터 벌이고 있는 '작은 평화의 소녀상 확산 캠페인'도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 캠페인은 13cm 정도 크기의 소녀상과 일상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국내에서는 서울 계성고등학교 학생들이 지난달 시작한 '평화의 소녀상 건립 해외도시 응원 챌린지'가 지자체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퍼지고 있다. 소녀상을 건립한 미국 글렌데일·사우스필드·워싱턴·애틀랜타·뉴욕, 캐나다 토론토, 호주 시드니, 중국 상하이, 독일 비젠트 등 해외 9개 도시를 응원하는 문구를 적어 SNS에 인증하고 다음 참여자를 태그하는 방식이다.
광복절을 맞아 소녀상을 직접 찾는 시민들도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에 사는 이정민(41)씨는 "집 근처에 소녀상이 있는데 매번 지나쳤을 뿐, 관심을 갖고 지켜본 적은 없다"며 "이번 광복절에는 아이와 함께 소녀상을 찾아 소녀상에 대해 설명해주고 나도 소녀상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iamkym@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