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 열린 ‘일본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에서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와 유가족들이 일본의 사과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19.8.15/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가 역사의 증인이다. 일본과 아베는 강제동원 사죄하라.”
74주년 광복절을 맞은 15일 시민들의 함성이 세차게 내리는 빗줄기를 뚫고 나왔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시작돼 최근 한 달 넘게 이어진 반일 열기로 "반(反) 아베"를 외치는 목소리가 높았다.
겨레하나·민족문제연구소 등 10여개 단체로 구성된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은 이날 오전 서울광장에서 '광복 74주년 일제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를 열었다. 2000여명(주최 측 추산)의 시민들이 자리를 지켰다. 강제징용 피해자인 이춘식(95) 할아버지와 양금덕(90) 할머니도 참석했다.
힘겹게 무대에 오른 두 피해자는 짧게 피해 사실을 증언하며 일본 정부의 사과를 촉구했다. 전범기업 일본제철을 상대로 피해 배상 판결을 받아낸 이 할아버지는 "할 말은 많으나 목이 메 여기서 말을 다 못 드린다. (여기에 계신 분들께) 대단히 감사하다"고 말했다. 양 할머니는 "일본에 가면 학교를 보내주고 돈을 벌 수 있다고 해서 갔지만 일만 하고 고생을 하다가 왔다"며 "화장실 가서 좀 늦게 와도 어디서 놀다 왔냐고 때리고, 밥은 세 숟가락 먹으면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일본 강점기에는 우리가 당했지만 이제 강한 나라가 됐으니 여러분이 한 몸 한뜻이 되어 아베 말 듣지 말고 일본을 규탄하자"고 소리쳤다.
일본대사관 향하는 이춘식 할아버지와 양금덕 할머니 (서울=연합뉴스) 김상연 기자 = 15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일제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대회'에 참여한 강제징용 피해자 이춘식 할아버지와 양금덕 할머니가 일본대사관으로 이동하고 있다. 2019.8.15 goodlu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 모양의 풍선을 들고 서울광장에서 일본대사관으로 행진했다. 강제징용 피해자 이춘식 할아버지가 약 1만7000명이 참여한 시민 서명을 일본대사관에 전달하려 했지만 일본대사관 측은 공휴일이어서 직원이 없다는 이유로 이를 받지 않았다.
광복절인 15일 8·15 전국 노동자 대회 참가자 등 일본 아베 정부를 규탄하는 시민들이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전범기인 욱일기를 찢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후에는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 전범기인 대형 욱일기를 찢는 퍼포먼스도 이어졌다. 70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인 '8·15민족통일대회 추진위원회(8·15추진위)'는 이날 오후 3시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8·15민족통일대회, 평화손잡기' 행사를 열었다. 광장에서 집회를 마친 이들은 강제징용 노동자 상과 피켓을 들고 일본 대사관으로 행진했다.
서울 외 전국 곳곳에서도 광복절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가 이어졌다. 이날 오전 경북 울릉도 사동항에서는 ‘대한민국 영토 우리 독도! 국기 태권도로 수호한다!’행사가 열렸다. 국기원 태권도 시범단으로 구성된 60여 명의 참가자가 독도 수호 의지를 담아 태권도 시범을 보였다.
당초 이 행사는 독도 선착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태풍 ‘크로사’의 영향으로 배가 출항하지 못해 장소가 변경됐다. 김병수 울릉군수는 “궂은 날씨에도 광복절을 맞아 일본에 맞서 독도를 지키겠다는 결의를 보여주고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세계 곳곳에 알리기 위해서 행사를 했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와 전남도도 광주시청과 전남도청 김대중 강당에서 경축식을 연 뒤 민주의 종 타종행사와 무궁화 묘목 나눠주기 행사 등을 열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