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4주년 광복절인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8.15 74주년, 역사왜곡, 경제침략, 평화위협 아베 규탄 정의평화실현을 위한 범국민 촛불 문화제'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74주년 광복절을 맞은 15일, 서울 도심에서는 일본 아베 정부를 규탄하는 함성이 최고조에 달했다. 온종일 내린 폭우에도 불구하고, 최근 일본 정부의 수출제재로 인한 반일 감정 고조 영파 등으로 시민들의 참여 열기는 뜨거웠다.
광화문광장·서울광장·옛 일본대사관 앞 등지에 집결한 시민들은 "강제동원 사과하라", "아베는 사죄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일본 정부를 비판했다. 특히 일본 시민단체 등도 아베 정부 규탄에 동참하는 등, 한·일 시민사회가 연대한 목소리도 잇따라 나왔다.
■ 폭우도 막지 못한 '사죄하라' 구호
이날 서울광장에서는 10여개 단체로 구성된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이 개최한 '일제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에 모인 시민들은 일본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조치를 촉구했다.
이날 행사에는 일본제철 강제동원 피해자 이춘식 할아버지(95)와 미쓰비시중공업 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90)가 피해 사실을 증언하고 일본의 사죄를 촉구했다.
태풍 영향으로 온종일 내린 비에도 불구하고, 이날 행사에는 당초 예상을 웃돈 3000여명의 시민(주최 측 추산)이 참여해 "우리가 역사의 증인이다. 강제동원 사죄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일본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모이자, 이춘식 할아버지는 목이 멘 목소리로 "대단히 감사합니다"는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양금덕 할머니도 "일제강점기에는 우리가 (힘이 없어) 당했지만, 이제는 한몸 한뜻이 돼서 일본을 규탄하자"고 호소했다.
이날 저녁 광화문광장 북측에서는 시민 1만50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8.15 아베 규탄 범국민 촛불행사'가 열렸다. 일본 정부를 규탄하는 촛불집회는 이날 5차를 맞이했다.
이 자리에는 일본 '아이치 트리엔날레' 기획전에 평화의 소녀상을 출품했다가 전시 중단을 당했던 김서경 작가, 한일 시민연대의 다카다 겐, 양금덕 할머니 등이 참석했다.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강제징용 사죄하라', '경제침탈 규탄한다'는 구호를 외치며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을 비판했다. 이와 함께 'NO 아베', '친일적폐 청산하자'는 피켓 시위도 벌였다.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을 찾는 시민들의 발걸음도 이어졌다. 한 노부부는 "광복절은 기쁘지만, 여기는 기쁠 수 없는 곳"이라며 백합꽃 한 다발을 소녀상 앞에 내려놓고 사진을 찍었다.
딸과 함께 소녀상을 찾은 최모씨(34)는 "위안부의 아픈 역사와 광복절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아침부터 나왔다"며 "광복절을 맞아 아이에게 직접 역사를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 日 시민단체도 '일본 정부 규탄'
특히 이날 열린 집회에서는 국내 시민들 뿐 아니라, 일본 시민사회와 북측도 함께 일본 정부를 규탄하는 목소리를 냈다.
이날 '시민대회'에 참석한 야노 히데키 일본 강제동원 공동행동 사무국장은 이 자리에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30여년 넘게 싸워온 데 대한 고마움을 전한다"며 "피해자 인권을 회복하는 그날까지 함께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광복절을 맞아 민주노총의 초청으로 방한한 오다가와 요시카즈 전국노동조합총연합(전노련) 의장도 "(일본 정부는) 징용피해자 문제라는 정치적 분쟁의 해결수단으로서 무역문제를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여러분의 투쟁과 연대해 일본에서의 행동을 강화하겠다"고 연대 의사를 보였다.
일본 시민사회 뿐 아니라 북측도 연대 의사를 보내 왔다. 북한 민족화해협의회는 강제동원 공동행동 측에 "반일투쟁은 일본의 과거죄악을 끝까지 결산하려는 드높은 의지의 발현"이라며 "시민대회 참가자들에게 힘찬 격려의 인사를 보낸다"고 연대 성명을 보냈다.
한편 이날 서울역광장·대한문 앞·광화문광장 남측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이른바 '태극기 집회'도 함께 열렸다. 경찰은 서울 도심 140개 중대, 약 1만여명의 경찰력을 동원해 충돌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bhoon@fnnews.com 이병훈 기자 , 강현수 인턴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