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지도자들, 잇단 우려 목소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독일 등 세계 지도자들이 일제히 홍콩 시위 사태에 대한 평화적 해결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중국 정부가 범죄인 인도 조례(송환법) 반대 홍콩 시위대를 테러리스트라고 규정하고 군 투입 등 무력진압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 계기가 됐다. 중국과 서방세력의 국제갈등으로까지 확대된 홍콩 시위 사태의 현주소가 투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왼쪽 사진)는 14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홍콩의 법에 기초해 의견 표현의 자유와 법치를 보장해야 한다”며 “폭력을 피하고 대화를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독일 공영 도이체벨레(DW)가 보도했다.
메르켈 총리는 또 “표현의 자유를 포함한 시민들의 권리는 홍콩에서 오랫동안 지켜져온 전통”이라며 모든 대화는 ‘일국양제’ 원칙에서 보장하는 자유에 충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97년 영국 식민지이던 홍콩이 중국에 반환될 당시 보장받기로 한 홍콩 시민의 권리가 존중돼야 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도 14일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만약 시진핑 국가주석이 홍콩 문제를 신속하고 인도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는다”면서 “개인적인 만남?”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의 개인 회동을 제안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또 “물론 중국은 (무역)협상을 원한다”면서 “먼저 중국이 홍콩 문제를 인도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자”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홍콩 시위와 관련해 ‘중국과 홍콩 사이의 일’이라며 관망하던 기존 태도와 달라진 것이어서 향후 미국의 대응이 주목된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국무부가 중국의 홍콩 시위 무력진압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면서 “모든 쪽이 폭력을 자제하기를 촉구한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은 미국이 중국에 대해 너무 무른 대응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를 두고 백악관과 국무부가 논쟁을 벌인 뒤에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오른쪽)도 지난 12일 토론토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홍콩 상황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정당한 우려를 가진 사람들을 매우 신중하고 정중하게 다룰 것을 중국에 촉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같은 날 대변인을 통해 당사자들이 건설적 대화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정원식 기자 bachwsik@ kyunghyang.com
▶ 최신 뉴스 ▶ 두고 두고 읽는 뉴스 ▶ 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