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대구시, 사회적 경제 선도도시 대구정책 사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뉴스

사진제공=대구시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뉴스

사진제공=대구시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국제뉴스) 백운용 기자 = 16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된 대구경북 사회적 경제 박람회를 계기로 대구시(시장 권영진)의 사회적 경제정책을 돌이켜 볼때 대구시는 그동안 지역의 사회적 경제 토대에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친화환경을 조성해 튼튼한 사회적 경제 기틀을 마련해 왔다.

사회적 경제 활성화와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전국 세번째로 전담조직인 사회적경제과를 설치(’14. 9월)하고, 민(民) 중심의 민관정책협의회운영, 지원조례를 제정(’15. 9월), ‘대구 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지역 사회적경제 육성을 위한 로드맵을 완성하여 대구만의 사회적경제 추진시스템을 구축했다.

‘대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와 ‘사회적기업 성장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여 기업에 필요한 공간과 다양한 자원연계를 지원하여 성장 인프라를 적시에 제공하고 있다.

그 외, 사회적경제 친화환경 조성을 위하여 지난 '15년부터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코디네이터 과정을 운영해 전문인력 604명을 양성하고, 경북대 등 지역 7개 대학과 ‘사회적경제활성화 협약’을 체결해 교과목 개설,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했다.

사회적경제기업 육성과 시장 및 판로개척 지원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건강한 성장생태계 조성.

9개의 ‘우수 사회적경제기업’을 육성하여 차별화된 전문 컨설팅을 지원해 신규시장 개척, 매출액 증대 등의 성과를 이루었으며, 동종 또는 이종 업종 간의 협업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는 협업화모델을 발굴지원하는 등 대구 사회적경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17년 12월 한국가스공사 등 지역 36개 공공기관과 ‘사회적경제 제품 구매 활성화 협약’을 체결해 공공구매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다졌으며, 사회적경제기업들의 시장개척과 판로 확대를 위해'무한상사 사회적협동조합'을 설립해, 설립 1년 만에 총매출액 14억원의 성과를 거두어 성공적 공공시장 연계모델로 전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담보력이 부족한 사회적경제기업의 자금융통을 지원을 위해 특례보증을 실시해 14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6월 신용보증기금과 ‘대구경북 사회적경제 금융지원 및 제품구매 업무협약’을 체결해 대구와 경북의 2000여 개의 사회적경제기업들이 필요한 자금을 손쉽게 지원받아 시장경제 내에서 홀로 설 수 있는 튼튼한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 해 7월부터 ‘대구 사회적경제 청년인턴 지원사업’을 추진해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과 젊은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지역의 사회적경제기업이 만나 기대 이상의 시너지를 내고 있다.

현재까지 90여개의 사회적경제 기업이 참여해 만든 청년 일자리수는 120개로 이 사업을 통해 청년은 사회적경제를 체험함으로써 지역공동체 발전과 지역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고, 기업은 젊은 감각과 열정을 수혈 받아 활력을 찾고 있다.

열정과 의지를 가진 청년들이 지역에서 계속 머무르고 자기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내년에는 채용 규모도 더 늘리고 교육과 네트워킹 등의 행정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사회적경제 공공서비스 연계 모델 개발’과 ‘사회적경제 자치구 기반 협동화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오는 9월까지 실시

고령화양극화 현상으로 나타나는 사회문제를 사회적경제 모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공공서비스와 연계한 일자리 발굴과 시장형성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장하고자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원체계가 중앙에서 지역 단위로, 광역에서 기초 단위로 변화되면서 자치구를 기반으로 한 지원체계와 제도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그동안의 다양한 활동과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맞춤형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